‘함께 갑시다’… 화주들에게 편지 보낸 현대상선

입력 2016-11-04 10:24수정 2016-11-04 15:1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현대상선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후속조치 착수

(사진제공=현대상선)

정부의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발표 직후 현대상선이 발 빠르게 후속조치에 착수했다. 유창근 사장 주재로 전 임원이 참석한 마라톤 회의를 진행하는가 하면, 전 고객사에는 ‘함께 갑시다(Go together)’라는 제목의 편지도 띄웠다. 다만 정부 정책의 실효성 논란 속에 사실상 유일의 국적 원양선사로 남은 현대상선이 계획대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4일 현대상선에 따르면 지난 1일 회사는 유창근 사장 주재로 전 임원이 참석한 가운에 ‘국가대표 해운사로의 도약을 위한 전략회의’를 가졌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의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에 기초한 컨테이너선 발주, 활용도 높은 터미널 인수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지난 2일엔 국내외 화주들에게 ‘함께 갑시다(Go together)’라는 제목의 편지를 발송했다. 해당 편지에는 정부 정책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현대상선의 경쟁력 강화 계획 등이 담겼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해외 주요 화주들이 한국 정부가 한진해운을 법정관리 보냈으니 현대상선도 못 보낼 리 없다는 식의 불안감을 갖고 있다”며 “구체적인 경쟁력 강화 계획보다는 정부의 정책방안과 지원의지를 상세히 설명해 신뢰를 가질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31일 발표된 정부의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은 사실상 현대상선을 초대형 국적선사로 탈바꿈하기 위한 지원책으로 평가된다. 대표적인 것이 자본금 1조 원 규모의 한국선박회사 신설이다. 한국선박회사는 해운사가 보유한 선박을 시장가로 인수하고 해당 해운사에 다시 빌려준다. 시장가와 장부가의 차이는 유상증자 등을 통해 자본을 추가 공급해준다. 정부는 해당 해운사를 원양선사 컨테이너선으로 우선한다고 했다. 결국 현대상선이 사선(선사가 보유한 선박) 형태로 보유한 24척의 컨테이너선을 사들여 우회적으로 1조 원의 자본을 지원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또 기존 1조3000억 원 규모의 선박신조 지원 프로그램을 2조6000억 원으로 늘리고, 지원대상을 기존 컨테이너선에서 벌크선ㆍ탱커선ㆍ터미널로 확대했다.

현대상선은 정부의 정책방안에 따른 자금지원과 선박신조, 터미널과 항만자금 자산매입으로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상선은 현재 한진해운 아시아-미주노선 예비입찰에 참여하고 있다. 롱비치터미널 등 한진해운 소유 항만터미널과 초대형 선박 등에 더 관심이 많은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정부의 계획대로 현대상선이 향후 초대형 국적선사로 커나갈지는 미지수다. 한 해운업계 관계자는 “중고 선박 매입과 선박신조가 곧 해운사의 글로벌 경쟁력으로 이어질지는 확신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