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성 확립‧공유로 역사도시 가치↑
서울시가 2021년까지 약 7400억원을 투입해 서울을 '역사도시'로 조성하기 위해 1일 '역사도시 서울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서울은 고대 백제의 수도 한성, 고려의 남경(南京), 조선을 거쳐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수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수많은 전쟁과 일제강점기, 산업화를 거치면서 역사문화자원이 많이 훼손된 상태다.
서울시는 더 늦기 전에 서울의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미래 지향적 보존ㆍ관리ㆍ활용을 통해 '역사를 품고(과거), 누리고(현재), 만드는(미래) 서울'을 만들어간다는 목표로 4대 분야(①발굴‧보존 ②활용‧향유 ③연구‧교육 ④지역‧세계) 56개 과제를 마련, 내년부터 본격 시행한다.
우선 발굴·보존분야는 역사문화자원을 개별적으로 보호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전체 도시계획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종합적·체계적 보존체계를 마련한다.
이에 따라 개발사업에 앞서 대상지에 어떤 유적이 있는지 사전에 확인하는 '지표조사'를 개별 사업자 대신 서울시가 예산을 투입해 일괄적으로 총괄 조사를 실시하는 '지표조사 공영제'를 현재 한양도성 밖 약 4km 이내에서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서울 전역으로 확대한다.
역사유산을 시민과 적극 공유하는 계획도 세웠다. 한강이남에 주로 분포한 풍납·몽촌토성, 석촌동·방이동 고분군 등 한성백제유적은 발굴 과정을 '현장박물관'으로 공개한다.
서울시는 문화재 보존을 위한 장기 프로젝트로 공공정책이나 민간사업이 역사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분석·평가하는 '역사문화영향평가제'를 도입한다. 여기에 박물관·기관에 분산된 보존과학 기능을 통합, 보존과학 허브기관 역할을 수행할 가칭 '문화재 보존과학센터' 설립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4대문안 각종 개발사업에서 지하유구 발굴시 처리방법·절차와 유구보존시 적절한 인센티브를 주는 등의 내용을 담은 '도심내 지하유구 재생 가이드라인'을 수립해 별도 발표할 예정이다. 활용·향유 분야는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역사문화유산을 충분히 누릴 수 있도록 인프라를 확충하는데 방점이 찍혀있다.
이를 위해 ▲생활유산(시민생활사박물관, 2018년) ▲민요(돈화문 민요박물관, 2019년) ▲공예(서울공예박물관, 2019년) ▲봉제업(봉제박물관, 2017년) 등 특화된 테마 박물관 13개소가 2020년까지 차례로 문을 열다.
'2000년 역사도시 서울'이라는 브랜드를 만들기 위해 정체성을 찾는 작업도 진행한다.
서울시는 서울의 역사문화자원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관리하는 싱크탱크로 가칭 '서울역사연구원'을 설립한다. 서울역사연구원은 서울의 역사 연구뿐만 아니라 연구 성과를 활용해 기록문화재 관리·활용(아카이브), 서울학 사전 발간 등을 진행한다. 역사도시 기본계획은 3월 제정된 역시도시 기본조례에 근거해 5년 단위로 세우는 장기 계획이다. 7월 구성된 역사도시서울위원회(공동위원장 서울시장, 김도형 연세대 사학과 교수)가 심의, 확정했다.
서울시는 이날 서울시청에서 역사도시 서울 선포식을 한다. 박원순 시장은 "서울시민 절반 이상이 서울 역사가 600년이라고 답하는 등 2000년 역사 관련 인지도가 낮은 것을 보면 지금부터라도 서울 역사문화자원을 제대로 발굴, 보존,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