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국제업무 3국 기능개편…장관비서관 신설

입력 2016-10-31 14: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기획재정부)

기획재정부가 국제업무 담당 3국의 기능을 개편하고 장관비서관을 신설했다. 대외경제 여건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부총리의 업무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취지다.

기재부는 11월 1일 국제금융정책국과 국제금융협력국, 대외경제국 간 일부 기능을 조정하는 한편 고위공무원 직위인 장관비서관을 신설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주요 개정 내용을 보면 기재부는 국제 3국의 업무를 △국제금융 및 주요 20국(G20) △개발 협력 및 국제금융기구 △대외경제정책 및 경제협력 기획‧조정 형태로 재설계했다. 국제금융정책국은 환율‧외환 정책과 G20, 국제통화기금(IMF)의 거시정책 협력을 담당하며 글로벌 통화정책 등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도록 했다.

국제금융협력국은 국제금융기구 대응, 녹색기후기금(GCF),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업무 통합운영을 통해 개발협력과 금융지원 기능을 연계시켰다. 대외경제국은 통상과 지역 간 양자‧다자 협력 업무를 묶어 통상정책과 경제협력 기능 간의 시너지를 높일 수 있도록 했다.

기재부는 개편에서 별도의 인력이나 기구의 증감 없이 기존 5개 과의 소속을 변경하고 기능을 재편했다. 한편 부총리 보좌를 위해 신설한 장관비서관은 별도 증원 없이 직급조정(3‧4급 과장급 → 고위공무원 국장급)했다.

장관비서관에는 최상대 정책기획관(행시 34회)을 임명했다. 후임 정책기획관에는 이계문 주미대사관 공사참사관(행시 34회)을 선임했다.

기재부는 “개발‧통상 환경변화,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등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업무 3국의 기능 재조정과, 대내외 정책 총괄‧조정 및 협력강화를 위해 책임감 있게 부총리를 보좌하는 직위의 신설 필요성이 높아졌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