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단종 기회손실 3조 중반… "품질점검 프로세스 전면 개편할 것"

입력 2016-10-14 09:09수정 2016-10-14 09: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3분기 선 반영된 직접 손실 포함하면, 총 6조 원대 직ㆍ간접 손실 추정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 판매 중단에 따른 향후 손실이 3조 원 중반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단종 사태에 따른 기회손실 전망치가 삼성전자에서 공식적으로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판매 중단으로 인해 올 4분기부터 내년 1분기까지 3조 원 중반대의 추가 기회 손실이 발생할 전망이라고 14일 밝혔다. 더불어 안전성 강화를 위해 품질 점검 프로세스를 전면 개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판매 중단으로 인해 현재 추정되는 직접 비용은 3분기 실적에 모두 반영했다”며 “올 4분기와 내년 1분기까지 갤럭시노트7 판매 실기에 따른 부정적 손익 영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지난 7일 삼성전자는 3분기 1조 원대의 갤럭시노트7 리콜 비용을 반영해 7조8000억 원의 잠정 영업이익을 발표했다. 하지만 단종을 결정하면서 12일 추가 손실 2조6000억 원을 3분기에 반영, 3분기 영업이익을 당초 예상치 7조8000억 원에서 5조2000억원으로 하향조정했다. 이는 환불·교환, 회수(물류), 재고처리(폐기), 판매관리, 마케팅 등 모든 직접 비용을 반영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단종으로 한 분기 영업이익에 버금가는 직ㆍ간접적 손실을 입게 될 것으로 보인다. 3조 원 중반대의 기회손실에 3분기 잠정실적에 반영된 직접손실까지 포함하면, 이번 사태로 인해 삼성전자는 총 6조 원대의 직ㆍ간접적인 손실이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판매 중단에 따른 영향에 대해 시장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 같은 전망을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회사 측은 “갤럭시노트7 공백에 따른 실적 약세를 갤럭시S7과 S7엣지 등 기존 제품 판매 확대를 통해 조기 정상화할 방침”이라며 “향후 제품 안전성 강화를 위해 내부 품질 점검 프로세스를 전면 개편하는 등, 안전한 제품을 공급하는 데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