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킨지발 혼란...정부 대우조선 해법 나서야 한다

입력 2016-10-13 09:34수정 2016-10-13 10: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보고서 하나에 정부가 이렇게 흔들리면.."

정부가 대우조선해양 해법에 대한 잡음을 조기에 진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와 국책은행이 같은 듯 다른 듯한 입장 표명으로 시장 혼란을 초래할 것이 아니라 분명한 처리 방향을 발표해야 한다는 것이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기재부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해 "대우조선해양의 수주가 예상보다 부진해서 상황이 더 안좋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신규 유동성을 넣을 수 없다는 대원칙은 변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는 맥킨지 보고서에 대한 해명이다.

조선 빅3에 대한 컨설팅을 맡은 맥킨지는 대우조선이 오는 2020년까지 3조3000억 원 규모의 부족자금이 발생해 자력 생존이 어렵다는 판단을 내렸다.

맥킨지는 지난 2011∼2015년 5년간 평균 영업이익률을 토대로 대우조선 영업이익률이 최악의 경우 2020년 -10% 대로 떨어질 것으로 추정했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의 경우는 각각 -4∼1%, -1∼4%로 전망했다.

이는 대우조선을 살리겠다는 기존 정부 입장과는 반대의 결론이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도 명확한 입장을 표명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앞서 이덕훈 수출입은행장은 대우조선 유동성 위기 언급하며 4.2조원 외에 출자전환 등 추가 지원 가능성을 시사해 논란에 불을 붙였다.

수은은 뒤늦게 해명자료를 내고 신규자금 지원은 없다고 입장을 번복했다. 신규 자금 지원이나 출자전환이나 모두 대우조선을 지원한다는 면에서는 같은 방향의 조치다. 출자전환시 대우조선은 채권 이자 부담이 줄어 재무구조가 개선된다.

금융위원회 고위 관계자는 "대우조선을 당장 정리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법정관리나 파산의 파장을 감당할 수 없다는 얘기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지난 4일 맥킨지 보고서에 대해 “획기적인 것은 아니고 아주 보편적이다”면서 “기존에 나온 조선업 구조조정 방안과 크게 다르지 않아 시장의 반응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결국, 정부는 대우조선을 살리겠다는 입장이지만, ‘신규자금 지원은 없다’라는 대외 원칙론만 반복하면서 시장 혼란을 잠재우지 못한 셈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이달 말 발표될 것으로 알려진 정부 조선업 개편방안에는 그동안의 원칙론뿐 아니라 시장이 분명히 알수 있는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 담겨야 한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