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검단 스마트시티 ‘한국판 두바이’ 될까

입력 2016-10-11 10:1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출범식 갖고 대규모 투자설명회… 토지매매 협약 등 과제 산적

▲지난 6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스마트시티코리아’ 출범식 모습(사진=정경진 기자 jungkj@)

‘검단 스마트시티’가 대규모 사업설명회를 열며 ‘한국판 두바이’ 개발의 기대감을 키웠지만, 일각에서는 사업 무산에 대한 불안감을 내비치고 있다.

6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인천시와 코리아스마트시티(KSC)는 ‘스마트시티코리아’ 공식 출범식을 갖고 대규모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유정복 인천시장을 비롯해 두바이홀딩그룹의 회장을 맡고 있는 모하메드 알 거가위 UAE 미래부 장관 등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행사에 온 총 방문객 수만 900명에 달하면서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스마트시티코리아 개발사업은 인천시와 두바이 국영기업인 스마트시티두바이(SCD)가 공동으로 인천 서구 검단신도시 470만㎡ 용지를 개발하는 것이다. 올 1월 양측이 합의각서(MOA)를 체결, 합작법인 코리아스마트시티(KSC)를 설립했다.

‘한국판 두바이’를 목표로 개발될 경우 검단신도시는 스마트시티라는 이름하에 4차 산업혁명의 테스트 베드로 탈바꿈하게 된다. KSC 측은 4차 산업 중심의 글로벌 첨단기업뿐만 아니라, 이에 특화된 50여 개 글로벌 교육기관과 연구소들을 유치하겠다는 계획이다. 스타트업을 위한 벤처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포부도 비쳤다.

행사장을 찾은 S업체 회장은 “두바이가 사업을 진행하는 만큼 무산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해 입주를 긍정적으로 고려하고 있다”며 “다만 사업계획이 구체적이지 않아 올 연말 실무진을 만나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여전히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대규모 사업설명회를 열었지만 검단 스마트시티 개발을 위해 해결할 문제가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실제 양측이 토지비ㆍ개발비 등 대금납부 조건과 이행보증금 규모, 사업실패 시 보증금 몰취 방식 등에 대해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하면서 토지매매 기본협약을 체결하지 못한 상황이다. 대규모 사업설명회를 열었지만 정작 사업을 진행할 토지 문제가 해결이 안 된 셈이다.

이에 대해 공공기관 투자유치 관계자는 “MOA를 맺었다고 해도 계약내용이 맞지 않아 무산되는 경우가 상당하다”며 “(검단은) 사업규모만 5조 원에 달해 이를 감당할 수 있는 투자자를 유치하기가 쉽지 않아 무산된다면 또다시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