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금 CIO에게 듣는다] 국내외 대체투자로 ‘안전·수익’ 두 토끼 잡는다

입력 2016-10-04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글로벌 유동성은 넘쳐난다. 미국, 유럽, 일본 등 대부분의 국가는 수년간 확장적 통화정책을 유지했다. 하지만 그 효과는 균일하지 않다. 금리를 내려도 물가 상승률은 좀체 오르지 않는다. 주식은 박스권을 멤돌지만 일부 지역의 부동산 가치는 널을 뛴다.

이 와중에도 한국은행의 연중 기준금리 인하 관측은 여전히 힘을 얻는다. 경기 하방 압력 때문이다. 반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는 올해 12월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전망이다. 국내와 해외의 상반된 행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을 모두 예단하기는 어렵다.

대규모 자금을 운용하는 연기금과 공제회의 고민은 깊다. 적립금 규모는 지속 늘어나는데 돈을 굴릴 곳은 마땅치 않다. 국민연금공단의 적립금은 2013년 427조 원에서 올해 6월 말 기준 535조 원으로 2년 반 만에 25.3% 증가했다. 사학연금의 운용자산은 2015년 16조3490억 원으로 2년 전의 15조680억 원에 비해 8.5% 늘었다. 다른 연기금과 공제회도 적립금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은 마찬가지다.

돈은 늘지만 이들 기관의 운용 수익률을 줄었다. 2009년 10.4%였던 국민연금의 수익률은 2015년 4.6%로 6년 만에 5.8%포인트 감소했다. 글로벌 저금리 시대의 당연한 귀결이다. 하지만 저출산ㆍ고령화 사회가 가속화되는 것을 고려하면 수익률 하락은 당연하게만 여길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이 때문에 채권 비중을 줄일지, 대체투자를 늘리면 어떤 자산에 투자해야 하는지 각 연기금이 머리를 싸매고 있다.

금리 패러독스로 불리는 현 시기에 연기금과 공제회의 투자 전략과 경제 전망을 듣기 위해 이투데이는 사학연금, 건설근로자공제회, 군인공제회의 자산운용 책임자들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들은 저금리로 채권 수익률이 줄자 부동산, 인프라, 사모투자펀드(PEF) 등 대체투자를 늘릴 방침이다. 부동산 자산 중에는 마스터리스(master leaseㆍ장기 임매한 뒤 재임대하는 사업방식) 실물자산(오피스, 리테일 물류창고 등)에 주목하는 곳도 있다.

공격적 투자보다는 자산 운용의 안정성을 강조한 것도 이들 기관의 공통점이다. 부동산 개발사업은 직접투자보다는 펀드나 리츠(REITsㆍ부동산투자회사) 등 간접투자방식을 활용한다. 기업간 인수합병(M&A)에 인수금융을 제공하는 것도 돌다리를 수차례 두들려 본 뒤에 결정한다.

이같은 행보는 불확실성 때문이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연준의 금리 인상 시기를 콕 집을 수 없는 만큼 보수적 관점에서 자산을 운용하려는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