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인물] 9월 29일 에밀 졸라-인민재판식 ‘드레퓌스 사건’ 고발한 프랑스 작가

입력 2016-09-29 11: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장대명 편집부 차장

“대통령 각하, 저는 진실을 말하겠습니다. 사법부가 진실을 밝히지 않는다면 제가 진실을 밝히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입니다. 제 의무는 말을 하는 겁니다. 저는 역사의 공범자가 되고 싶지 않습니다. … 대통령 각하, 정직하게 살아온 한 시민으로서 솟구치는 분노와 더불어 온몸으로 제가 이 진실을 외치는 것은 바로 당신을 향해서입니다. 저는 명예로운 당신이 진실을 알고도 외면하지는 않았으리라고 확신합니다.”

진실과 정의를 사랑하는 모럴리스트, 이상주의적 사회주의자였던 프랑스 소설가 에밀 졸라(1840.4.2~1902.9.29)는 1898년 ‘로로르(여명)’지에 ‘나는 고발한다’를 발표, 독일 간첩 누명을 쓰고 투옥됐던 유대인 드레퓌스 대위가 무죄임을 격정적으로 밝혔다.

하지만 문학가로서 최고의 명예와 대중의 인기를 한몸에 얻고 있던 그는 이 발표로 고난 속으로 밀려들어갔다. 그는 영국에서 1년간의 망명 생활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됐으며 레지옹 도뇌르 수훈자 자격도 박탈당했다.

훗날 드레퓌스 사건은 무죄로 밝혀졌지만 가톨릭교회와 군부는 끝까지 졸라를 괴롭혔다. 1899년 드레퓌스 사건이 재심에 회부되고 프랑스로 돌아온 졸라는 3년 뒤 난로 가스에 중독돼 사망했다. 가톨릭 예수회에 의한 타살이라는 의혹도 제기됐다. 암살자로 붙잡힌 굴뚝 청소원이 누군가의 지시로 굴뚝을 막아 놓았다고 자백했다는 것이다.

“진실이 전진하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늪지대를 지나가야 하는 것일까. … 진실은 행진해 오는 중이며 무엇도 그것을 막을 수 없다.” 졸라는 생전에 이렇게 말했다. 졸라는 드레퓌스 사건을 소재로 한 소설 ‘진실’을 끝내지 못한 상태였다.

졸라가 사망한 지 4년이 지난 1906년 7월 드레퓌스는 복권됐고, 1908년 그의 유해는 국립묘지인 파리의 팡테옹으로 이장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