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보마이라이프] '비교하지 않아 행복한 들국화 인생' 도종환 시인·국회의원의 <사람은 누구나 꽃이다>

입력 2016-09-27 17: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도종환 의원은 산문 ‘잔디밭을 맨발로 걸어보세요’에 ‘맨발로 거닐 때는 발바닥에 닿는 잔디의 느낌이 좋아서 빨리 걷게 되지 않는다’고 썼다. 그는 자연과 가까워지는 만큼 마음도 자연을 닮아 너그러워지고 편안해진다고 했다. 천천히 국회 잔디밭을 맨발로 걷는 그의 얼굴에 들국화처럼 은은한 미소가 번졌다. (오병돈 프리랜서(Studio Pic) obdlife@gmail.com)

도종환(都鍾煥·62)의 <사람은 누구나 꽃이다>는 그가 교사직을 그만두고 깊은 산 속 황토 집에 머물며 쓴 산문집이다. 책이 처음 나왔을 때만 해도 그는 가슴 따뜻한 사랑을 이야기하는 시인으로 불렸지만, 10여 년이 흐른 지금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이라는 수식어가 덧붙었다. 그동안 세상도 참 많이 변했고, 그를 향한 몇몇 대중의 눈길도 달라졌지만 그는 여전히 들국화를 좋아하고, 연민의 눈으로 사람들을 사랑하고자 한다.

<글> 이지혜 기자 jyelee@etoday.co.kr


10여 년 전, ‘자율신경 실조증’이라는 희귀병을 앓던 그는 깊은 산골의 한 외딴집으로 거처를 옮기게 된다. 거북처럼 오래 그리고 느리게 살고 싶어 ‘구구(龜龜)산방’이라 이름 지은 그곳에서의 성찰을 담은 책이 바로 <사람은 누구나 꽃이다>이다.

“그곳은 나에게 ‘영혼이 성숙하는 집’이에요. 세상에서 가장 좋은 집은 비싸고 넓은 집이 아니라 그 사람이 사는 동안 영혼이 성숙해질 수 있는 집이죠. 거기서는 몸도 아팠고, 아주 쓸쓸하고 외로웠어요. 그러나 쓸쓸하지만 평화롭고, 외롭지만 고요한 시간을 보낼 수 있었죠. 내 생에 가장 깊어질 수 있었던 시절에 쓴 책인데, 당시 출판사가 단행본 사업을 중단하면서 책이 절판됐어요. 찾는 독자도 많고 나도 이 책을 그렇게 죽게 두긴 너무 아까워서 다시 내게 됐죠.”

그는 책 제목처럼 누구나 저마다의 향기와 아름다움을 지닌 꽃과 같은 존재라는 것을 깨닫길 바란다고 했다. ‘깨달음이란 모르는 것을 알게 되는 것이 아닌, 이미 알고 있는 것을 아는 것’이라는 이현주 목사의 조언도 빼놓지 않았다.

“장미처럼 화려하고 아름다운 꽃이 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으리라고 봐요. 하지만 사람마다 끌리는 꽃이 다르죠. 누군가는 목련, 또 누군가는 라일락, 코스모스 등. 자기 내면에 그 꽃과 같은 요소들이 있기 때문에 끌리게 되는 거예요. 백합에 끌리는 사람은 백합 같은 마음으로 사는 게 중요한데 ‘왜 나는 장미가 되지 못했을까’라고 생각하지 말자는 거죠. 장미처럼 아름다운 사람도 있지만, 국화처럼 우아한 사람도 있고 저마다 자신이 본래 지닌 빛깔과 향기를 알고 아름답게 사는 게 중요해요.”

그런 그가 좋아하는 꽃은 무엇일까? 그는 오래전부터 들국화를 좋아했고, 들국화 같은 인생을 살고 있노라고 답했다.

“벚꽃은 진달래를 보고 질투하지 않아요. 개나리가 산수유 꽃을 보고 뒤에서 험담하지 않을 거고요. 그게 자연의 이치니까요. 그러나 사람은 다른 이와 비교하고, 미워하거나 선망하기도 하죠. 들국화는 봄꽃이 사람들의 관심과 박수를 받을 때 그 주변에 눈에 띄지 않고 머물러 있에요. 그러다 먼저 핀 꽃들이 지고 황량하고 쓸쓸해진 들에 피어나잖아요. 나는 그런 들국화 같은 존재입니다. 다른 친구들이 인정받고 두각을 나타낼 때 흔적도 없었지만, 언제고 피어날 것을 알기에 초조하거나 애타지 않았어요. 언제 피느냐보다 자신이 언제 핀다는 것을 믿고 사랑하면서 사는 게 중요한 거죠. 그러면 남과 비교하지 않고 행복할 수 있어요.”


▲도종환 시인·국회의원(오병돈 프리랜서(Studio Pic) obdlife@gmail.com)

다시 고요한 강물이 되어 만나리

스스로는 남과 비교하며 살지 않지만, 그의 모습을 두고 과거와 현재를 비교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는 달라진 점은 많지만, 본질에는 변함이 없다고 설명했다.

“10년 전과는 많이 달라졌죠. 구구산방에서 느끼고 생각했던 것들을 지금은 실천으로 옮기고 행동해야 하는 자리에 와있어요. 물론 권력에 눈이 멀었다며 비난하는 사람도 있죠. 고요했던 강물이 돌길을 지나면 격류가 생기기도 하고, 낭떠러지를 만나면 거세지기도 하잖아요. 그러나 강물은 그대로 강물이죠. 저 역시 그래요. 내가 산속에 있는지, 정치 한복판에 있는지에 따라 사람들은 다르게 생각할 거예요. ‘너는 원래 고요한 물이었는데 어떻게 이렇게 거세질 수가 있느냐’며 말이죠. 그러나 그 외형만 변했을 뿐, 내가 강물이라는 것은 변함이 없어요.”

돌길을 지나고, 낭떠러지를 만나며 폭포처럼 거친 모습을 지닐 때도 있지만, 그는 여전히 강물이라고 말한다. 그런 그가 아이들을 가르칠 때도, 시를 쓸 때도, 그리고 정치를 하는 현재에도 변함없는 마음속 연결고리는 ‘연민’이다.

“길에 핀 꽃 한 송이에도 걸음을 멈추고 연민의 눈으로 바라보는 게 시를 만나는 거거든요. 교육도 그래요. 어렵고 힘든 아이를 보면 연민을 느끼고 사랑하게 되죠. 정치도 마찬가지예요. 제대로 된 정치는 연민의 눈으로 국민을 바라보는 것이라 생각해요. 그래서 제가 해온 일들의 공통분모를 찾자면 바로 ‘연민’이라 할 수 있어요. 연민으로 바라보다가 사랑하기도 하고, 사랑하다가 연민이 생기기도 하죠. 때론 상처도 받아요. 시가 잘 안 써져 고통스럽기도 하고, 아이들 때문에 마음 아플 때도 있고, 국민의 혐오를 감당해야 하기도 하죠. 그러면서도 다시 또 사랑하게 되는 것, 그런 일을 하는 게 내 운명이라 생각해요.”


▲<사람은 누구나 꽃이다> 책 표지와 도종환 의원이 쓴 메시지.

결국 가슴속 사랑이 남는다

상처 입고 고단한 삶에도 그가 힘을 낼 수 있는 원동력은 바로 ‘사랑’이다. 사랑은 그를 살아가게 하는 힘이자, 존재 이유와도 같았다.

“국회에서 정치하는 거 사실 굉장히 힘들거든요. 나를 인정하고 이해하는 사람도 있지만, 여전히 반대하고 욕하는 사람도 있을 거예요. 그런데도 이런 일을 계속할 수 있는 건 사람들을 사랑하기 때문이죠. 우리가 이 세상을 떠난 뒤에 무엇이 남을 것인가를 고민해 보면, 결국 내가 갖고 있는 게 아니라 내가 준 게 남는 거라 생각해요. 그중에서도 가장 오래 남는 것이 바로 사랑 아닐까요? 내가 죽고 나면 한 줌 재가 되어 사라지겠지만, 내가 준 사랑이 누군가의 가슴속에 남아 있는 동안 나는 살아 있는 셈이죠. 내가 진정 연민의 마음으로 누군가의 가슴에 남는 사랑을 주고, 그런 시를 쓸 수 있다면 좋겠어요.”

국회의원으로 활동하고 있지만, 여전히 펜을 놓지 않는 그다. 자신을 강물에 비유했던 것처럼 글을 쓰는 본질은 같지만, 평지의 고요함에서 느껴지는 성찰보다는 돌밭의 거친 돌들이나 진흙탕을 지나며 느끼는 아비규환, 낭떠러지에서의 분노와 환멸 등 현실적인 소재를 다루게 됐다고 설명했다. 다시 고요했던 강물로 돌아가고 싶지는 않은지 궁금했다.

“폭포로만 이어진 강물은 없죠. 언젠가는 저절로 다시 잔잔했던 그 시절로 돌아가게 될 거예요. 강물이 흐르면 본래보다 더 깊고 넓어지는 것처럼, 저도 그렇게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해요.”

끝으로, 그는 결국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고자 하는가에 대해 물었다.

“‘좋은 시를 쓰던 사람’ 그리고 ‘정의롭게 살려고 애쓰던 사람’으로 남길 바랍니다.”


▲명사와 함께하는 북人북-도종환 시인·국회의원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