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불황’ 여파 울산 동구ㆍ거제 등 근로자 수 ‘뚝’

입력 2016-09-22 16: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4월 지역별 사업체 노동력조사…‘공공기관 이전’ 효과에 강원ㆍ전북↑

조선업 구조조정 영향으로 ‘빅3 조선소’가 있는 울산과 거제의 근로자 수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지역별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4월말 기준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 수는 총 1660만명이다. 서울시(411만 8000명), 경기도(379만 3000명), 경상남도(108만 5000명) 순으로 종사자 수가 많았다.

지난해 4월과 비교해 종사자 수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강원도(3.5%), 전라북도(2.6%), 경상북도(2.5%) 등이었다. 이는 최근 1년간 공공기관이 이들 지역으로 이전한 혜택을 본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조선업 불황 등으로 울산시(0.8%)와 경상남도(1.8%) 증가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자치구별로 보면 현대중공업이 있는 울산 동구(-1000명)와 대우조선해양ㆍ삼성중공업이 있는 경남 거제시(-300명)는 종사자 수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

전체 종사자 중 300인 이상 대기업에 다니는 사람은 252만명으로 전체 종사자의 15%에 불과했다. 다만 종사자 수 증가율은 300인 이상(1.4%)보다 300인 미만(2.3%) 사업체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300인 이상 사업체가 많이 있는 시ㆍ도는 서울시(1040개), 경기도(477개), 부산시(172개) 등이다. 자치구는 서울 강남구ㆍ중구ㆍ영등포구, 시는 경남 창원시ㆍ 경기 성남시ㆍ충북 청주시 등에 많았다.

사업체 종사자의 노동이동은 전라북도(4.3%), 대전시(4.0%), 광주시(3.9%) 순으로 높았다. 이들 지역은 건설업 종사자 비중이 높거나, 공공기관 이전 공사로 건설업 종사자가 일시적으로 증가한 곳이다. 구인 중인 빈 일자리 수는 22만 9000개로, 경기도(6만 4000개), 서울시(4만 8000개), 경상남도(1만 3000개) 순으로 많았다.

전국적으로 세종시(40.7%)에서만 빈 일자리 수가 증가했으며, 나머지 지역은 모두 감소했다. 특히 조선업 불황 등으로 울산시(-49.0%)의 빈 일자리 수는 전국에서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고용노동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