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금융위기 후 투자증가율,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하락폭 커”

입력 2016-09-20 06: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자료제공=한국경제연구원)

금융위기 이후 기업 투자증가율이 하락세인 가운데 중소기업에 비해 대기업의 투자증가율 하락폭은 상대적으로 완만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이후 대기업, 특히 기업집단 대기업(재벌)의 투자증가율은 반등세가 두드러졌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0일 ‘기업투자 추이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2008년 금융위기 전후 기간 기업 규모별 투자증가율 변화 추이를 살펴본 결과 금융위기 이후 중소기업의 투자증가율이 큰 폭으로 하락하는 동안 대기업은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경우 금융위기 이전인 2001년부터 2008년 기간 투자증가율이 10.5%에서 금융위기 이후인 2009년부터 2015년 기간 중 마이너스 1.0%로 11.5%p 감소했다. 반면 대기업의 투자증가율은 금융위기 이전(2001년~2008년) 4.2%에서 금융위기 이후(2009년~2015년) 2.5%로 1.7%p 떨어졌다. 특히 2014년 이후 대기업 투자증가율은 반등한 반면 중소기업은 계속 하락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제공=한국경제연구원)

대기업 가운데에서도 비(非)기업집단 소속 대기업과 달리 기업집단 소속 대기업의 투자증가율은 금융위기 이후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非)기업집단의 기업투자증가율은 금융위기 전인 2001년부터 2008년 기간 평균 8.3%에서 금융위기 이후 마이너스 3.3%로 11.6%p 감소했다. 이와 달리 기업집단은 금융위기 이전 4.2%에서 금융위기 이후 약 5.0%로 소폭(0.8%p) 상승했다.

한경연은 “매출액 영업이익률의 경우 금융위기 전후로 대기업의 감소폭이 중소기업보다 크고 최근에는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금융위기 이전에 중소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5.1%로 금융위기 이후 4.9%로 0.2%p 하락했지만, 대기업은 7.6%에서 5.6%로 2.0%p 감소했다.

또 현금보유비율은 2001년부터 2015년까지 대기업이 8.6%를 기록해 중소기업 10.5%에 비해 더 낮았다. 또 같은 기간 기업집단의 현금보유 비율은 7.8%로 비(非)기업집단 10.8% 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 전체 기업의 투자증가율은 감소세를 보였다. 금융위기 이전 기간인 2001년부터 2008년 중에는 연평균 기업투자증가율이 5.7%였지만, 금융위기 이후에는 1.2%로 하락했다.

이병기 미래성장동력실장은 “최근 급격히 위축되고 있는 기업투자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법인세 인하 등 기업투자비용을 줄여주는 정책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2010년 이후 기업투자증가율 저하추세가 두드러진 반면 2015년에 일부 기업을 중심으로 수익성이 개선되면서 투자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지방의 공장설립규제 수준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을 비교한 결과, 규제수준이 높은 지역의 기업투자증가율은 2001년부터 2015년까지 기간 중 약 2.5%로 나타난데 반해, 공장설립규제가 비교적 낮은 지역의 기업투자 증가율은 5.9%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병기 실장은 “입지제한, 경사도·건폐율·용적율 등 건축 관련 규제, 심의기간 등 긴 행정절차, 인・허가 규제 등 공장설립과 관련된 여러 지방규제가 기업의 투자를 제약하고 있다”며 “지방의 공장설립규제가 약할수록 기업의 투자가 촉진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지방의 공장창업·설립 관련 규제들을 대폭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