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금융완화정책에 카푸어족만 늘어난다

입력 2016-08-25 08:49수정 2016-08-25 10:5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호주 중앙은행의 파격적인 금융완화 정책이 ‘카푸어족’만 늘리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자신의 경제력을 감안하지 않고 고급차들을 구입해 소득의 대부분을 자동차 관련 비용에 대느라 경제적으로 궁핍한 생활을 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호주 커먼웰스은행의 증권 부문인 콤섹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7월 호주의 고급차 판매는 전년 동기보다 15.7% 증가한 10만4277대로 12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콤섹의 사반스 세바스티안 이코노미스트는 “비싼 주택가격이 재산을 불려주고 있고, 소비자들은 지출을 늘리고 있다”며 “호주 소비자들은 그에 따라 고급차를 기록적인 수준으로 사고 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같은 현상은 중앙은행의 통화정책과 무관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호주중앙은행(RBA)은 지난 2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려 사상 최저치인 1.5%로 결정했다. RBA는 글로벌 경제 성장 속도가 더딘데다 원자재 가격이 오를 조짐을 보이지 않는다는 이유를 들며, 3개월 만에 올들어 두 차례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궁극적으로는 통화 가치를 진정시키고 소비지출을 자극하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RBA의 이같은 완화적인 통화정책은 저소득층과 부유층 간의 불균형만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부유층은 완화정책에 혜택을 입은 금융시장과 주택시장 강세로 부를 더 축적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반면, 저소득층에는 별다른 수혜가 없기 때문이다. 호주의 가처분소득은 9개 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그런데도 고급차 시장은 활황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호주 경제는 미국과 유럽의 중간적인 모델을 취하며 전통적으로 부의 평등에 대해 자부심을 가져왔다. 그러나 금융완화정책이 부의 양극화를 두드러지게 만들고 있다는 것이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저금리 기조는 물론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줄곧 하락하던 호주의 소비 심리는 이달들어 크게 개선돼 3년래 최고치에 근접했다. 또한 대부분의 채무자들은 저리 모기지 혜택도 입고 있다. 결과적으로 지갑도 두툼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RBA의 정책효과가 기대보단 미미해 일각에서는 RBA가 비전통적인 통화 정책을 사용할 것이라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