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우올림픽] 정식 종목 복귀한 레슬링…판정 논란 여전

입력 2016-08-15 03: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안한봉 감독을 비롯한 우리 코치진이 심판에 항의하고 있다. 이날 석연치 않은 판정을 내렸던 심판진은 비디오판독조차 거부했고 김현우는 8강 진출에 실패했다. (연합뉴스)

올림픽 종목에서 퇴출됐다가 복귀한 레슬링이 리우올림픽에서 또 다시 판정 논란의 중심에 섰다.

15일(한국시간) 그레코로만형 75kg급 16강전 김현우와 러시아 로만 블라소프의 경기에서 경기 종료 3초를 남겨놓고 김현우가 시도한 기술에 4점이 아닌 2점을 주면서다.

이번 올림픽은 레슬링이 퇴출당했다가 복귀해 치른 첫 대회다.

레슬링은 런던올림픽이 끝난 다음 해인 2013년 2월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집행위원회를 열고 레슬링을 올림픽 핵심 종목에서 제외했다.

1896년 제1회 대회부터 올림픽 종목으로 입지를 다져 온 레슬링이지만 올림픽마다 판정 시비를 비롯한 부정부패가 난무하자 IOC가 끝내 퇴출 명령을 내린 것이다.

'사형 선고'를 받은 레슬링은 2002년부터 수장을 맡은 라파엘 마르티네티 세계레슬링연맹 회장을 축출하고 뼈를 깎는 개혁 작업을 벌였다.

레슬링 스타들은 물론 미국과 러시아 등에서도 강력한 구명 운동을 펼친 끝에 그해 9월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힘겹게 올림픽 복귀에 성공했다.

세계레슬링연맹은 여성 부회장직을 신설해 양성평등을 구현하고 세트제를 폐지하는 한편 패시브 제도를 개선하기도 했다. 논란 많은 심판위원회도 독립시키기로 했다.

하지만 편파 판정만큼은 예전 그대로여서 레슬링 종목이 또 다시 비난 여론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