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8월 금통위 동결…추경 늦어지며 경제상황 관망

입력 2016-08-11 09:5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25%로 동결했다. 6월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효과 확인이 필요하다는 점과 추가경정예산안이 국회에서 표류 중인 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여신 심사 강화에도 꺾이지 않은 가계부채도 금리 인하의 부담요소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11일 한은은 8월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수준인 1.25%로 유지했다. 지난 6월 0.25%포인트 인하한 이후 2개월째 동결을 이어갔다.

이같은 결정은 우선 6월 기준금리 인하 효과를 점검하기 위한 기간이 부족했다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추경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평소 이주열 한은 총재는 한국의 저성장과 관련해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공조가 중요하다고 말해왔다.

김동원 SK증권 연구원은 “6월 금리인하에도 정부의 추경 등 재정과의 공조를 기대한 면이 있었다. 하지만 추경안이 국회에서 언제 통과될지 모른다. 추경과 6월 금리 인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본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 취임 후 총 5번에 걸친 금리인하 결과 눈덩이처럼 불어난 가계부채 부담도 상당하다. 가계의 대출금과 카드 사용금액 등을 모두 합친 가계 빚은 2014년 1분기(1~3월) 1022조원에서 올 1분기 1223조원으로 201조원이나 급증했다.

대외적으로는 미국 금리도 변수다. 미국의 경기 호전세에 따라 연준(Fed)의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성훈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두달 전에 금리를 내린 만큼 연속해서 인하하게 되면 시장은 경기가 않좋다는 시그널로 받아들일 우려가 있다”며 “아울러 추경이 확정되지 못한데다 가계부채 부담도 여전하다. 추경과 박자를 맞춰야한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