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6/08/600/20160803083408_915039_600_269.jpg)
3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전국의 8월 HBSI(주택사업 경기실사지수) 전망값이 76.4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 전망(61.7)보다 14.7p(↑)가 상승한 수준이다. 하지만 주택사업 경기에 대한 회복 신호라기 보다는 지난달 영국의 브렉시트, 중도금 대출규제 강화 등에 따른 일시적인 주택사업 체감경기의 급격한 위축 결과에 따른 기저효과로 풀이된다.
HBSI 실적은 5월 100을 기록한 후 6월 89.2, 7월 86.5로 2개월째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어 주택사업경기의 조정국면은 6~7월 비수기를 거치면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7월 HBSI 실적은 86.5를 기록하며 당초 7월 전망치(61.7) 대비 24.7(↑)가 상승했다. 이는 6월말 브렉시트 등의 영향이 주택사업경기에 큰 영향을 미쳐 주택사업 체감경기가 크게 위축될 것으로 사업자들이 단기 예상했지만 주택사업경기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8월 HBSI 전망치는 76.4로 7월 실적치 86.5보다 10.1p(↓) 낮기 때문에 6월 이후 2개월째 우하향하고 있는 주택사업 체감경기의 추세적 흐름은 이어질 전망이다.
지수값이 여전히 기준선을 하회하고 있어 주택사업을 비관적으로 보고 있는 기업이 낙관적으로 보고 있는 기업보다 많은 가운데 주택사업 경기가 지난달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업자가 많은 상태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분양시장 호조는 서울, 제주, 세종을 제외하고 분양단지별 국지성이 강해지고 있으므로 사업입지, 사업성(분양성), 지역 및 인근수요, 기존 공급물량, 분양가 및 매매·전세가 등을 복합적으로 검토한 후 신규사업추진 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