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전문가들 “美 금리 동결...국내외 채권 강세 지속시킬 것”

입력 2016-07-28 09: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 26일부터 이틀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7월 정례회의를 마치고 27일 낸 성명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0.25~0.50%로 동결한다고 밝혔다. 다만, 다만 캔자스시티 연은의 에스더 조지 총재는 다시 금리인상에 대해 소수의견을 남겼다.

성명서는 “고용 시장이 호전됐고 경제도 점진적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경제 전망에서 단기 위험은 줄어들었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에 대해 윤여삼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정책시그널은 강하지 않았으며, 최근 우려되었던 경기와 금융시장 불안 정도는 완화되었다는 것을 확인하는 수준에 그쳤다”며 “지난 4월에도 그랬지만 옐런의장의 기자회견이 없는 FOMC에서 성명서만 가지고 정책방향을 타진하기는 쉽지 않아 금융시장의 긴장감은 높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 美 FOMC 기준금리 인상 결정은 9월? 12월? 내년?

하지만 9월 금리인상 관련해서는 뚜렷한 시그널은 부족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금리 인상 시기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은 의견을 달리했다. 다만, 전반적으로 금융시장 동향은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빠르게 전개되지는 않을 것임을 예상하는 분위기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특히 미 연준의 금리인상에 또 다른 근거라 할 수 있는 물가 리스크에 대해 6월과 동일한 입장을 유지했다는 점은 9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낮추는 요인으로 평가할 수 있다“며 ”미 연준의 추가 금리인상 시점은 9월보다 12월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윤 연구원은 “영국이 글로벌경제에 미칠 부정적 여파와 유럽과 일본의 통화정책 실시관련 불확실성, 연말 미국 대선 이슈 등을 감안하여 연내 금리인상을 단행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연내 금리 인상이 어렵다는 시각도 있었다.

실제 연방기금 선물 시장에 내재된 9월 기준금리 인상 확률은 지난 7월말 28%까지 올랐다가 FOMC 회의 이후 25%로 소폭 내렸다. 12월 인상 확률도 29%에서 45%로 대폭 줄었다.

하지만 9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완전히 닫아놓긴 힘들다.

윤창용 신한금융투자연구원은 “미국 대통령 선거 일주일 전에 열리고 옐런 의장의 기자회견 및 연준 위원들의 점도표 전망 등 선제적 안내가 없는 FOMC라 11월 회의에서는 사실상 금리 변화를 모색하기 어렵다”며 “브렉시트(Brexitㆍ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논란에도 불구하고, 7~8월 고용지표가 양호한 흐름을 유지한다면, 9월 기준금리인상도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BOJ에 쏠린 눈...국내외 채권 강세로 이어질 것

미국의 기준금리 동결과는 ECB(유럽중앙은행)와 BOJ(일본은행) 등 다른 국가 중앙은행들의 통화 완화 정책은 더욱 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과 달리 지표 개선이 뚜렷하지 않은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주요국의 완화정책 기조에 동참해 하반기 추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커졌다.

또한 전날 아베 총리가 28조엔을 상회하는 규모의 대책의지를 밝힌 만큼, BOJ 역시 이번주 말 이에 부합하는 정책을 발표할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채권 강세 분위기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 봤다.

박종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연준의 금리인상 지연으로 국내외 채권의 강세기조 지속 예상된다”며 “연준의 금리인상 지연으로 신흥국 중심으로 글로벌 채권시장의 강세가 예상되며, 국내에서도 금리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중장기물 중심의 강세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명실 KB증권 연구원은 “미국과 달리 지표개선이 확인되지 않고 있는 국내경제도 주요국들의 완화정책 기조에 동참할 경우, 하반기 추가 금리인하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은 더욱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며 ”최근 ECB나 BOJ의 추가완화, 그리고 미 연준의 금리인상 가능성 축소가 국내 등 신흥국 고금리 채권 투자 확대에 기여하고 있어 외국인의 원화채 선호현상도 채권시장에 긍정적 재료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