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지배구조 라운드2 ⑦한화그룹] 오너일가 계열사 한화S&C 조용한 몸집불리기

입력 2016-07-25 10: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화그룹 오너가 삼형제(김동관·김동원·김동선)가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는 비상장 IT서비스업체 한화S&C가 향후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재계 안팎에선 한화S&C의 기업가치를 높여 ㈜한화와 합병을 통해 이들이 모기업에 대한 지분율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여기에 한화S&C의 100% 자회사인 한화에너지도 든든한 조력자 역할을 하고 있다.

지난 2014년 한화-삼성그룹 간 방산ㆍ화학부문 빅딜 과정에서 한화에너지는 삼성종합화학 인수 주체로 나서 주목받았다. 방위산업을 하는 ㈜한화가 삼성테크윈(삼성탈레스 포함)을 인수하고, 석유화학사업을 하는 한화케미칼이 삼성종합화학(삼성토탈 포함)을 인수하는 것은 명분이 있지만, 집단에너지 사업을 하는 한화에너지는 직접적인 사업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당시 한화에너지는 5367억 원을 들여 삼성종합화학 지분 30%를 확보해 한화케미칼(4941억 원, 27.6%)을 제치고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다. 이 때문에 한화그룹의 빅딜이 후계 구도와 무관치 않은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번 거래로 한화에너지 몸집을 키워 지배회사인 한화S&C의 기업가치를 높이려는 포석이 깔렸다는 분석에서다.

한화S&C는 2001년 ㈜한화의 정보사업부문이 분사해 설립된 IT서비스 업체다. 2001년 설립 당시 ㈜한화가 지분 66.6%, 김승연 회장이 33.3%를 보유했으나, 2005년 ㈜한화 지분을 장남에게, 김승연 회장 지분을 차남과 삼남에게 각각 넘겼다. 오너가 삼형제가 주요주주에 오른 2006년 이후 한화S&C는 매출이 급증했다. 그룹 내 주요 계열사 IT 사업부를 차례로 편입시키고, 한화에너지가 안정적인 실적 기여를 지속한 덕분이다. 한화에너지는 2007년 한화케미칼에서 에너지사업부가 물적분할해 출범했다. 2010년 한화S&C로 최대주주가 변경됐다.

한화S&C는 특히 2006년~2010년 연평균 매출성장률이 33.6%에 달했다. 설립 직후인 2002년 830억 원이었던 매출액은 지난해 8720억 원, 영업이익은 10억 원에서 1490억 원으로 폭증했다. 당기순이익은 7억 원에서 1650억 원으로 급증했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한화 S&C는 오너일가가 소유한 회사로 가치를 높여 ㈜한화와 합병해 후계구도를 정리하는 핵심 회사로 지목된다”며 “이 회사가 앞으로 삼성SDS와 같은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