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르덴셜투자증권은 삼성전자에 대해 지난 3일 기흥공장 정전사태로 생산차질과 이익감소가 불가피하지만 하반기 실적개선 추세를 거스를 이슈는 아닐 것으로 전망하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82만원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3일 삼성전자 기흥공장 내 변전소 배전반에 화재가 발생해 K2지역 생산설비에 전력공급이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에 NAND를 생산하는 Fab7~9, Fab14, Sys-LSI를 생산하는 Fab6, S-Line 등 6개 설비의 가동이 중단됐다. 삼성전자측은 이날 저녁 11시부터 전력공급이 재개됐고 4일 정오까지 설비가 재가동됐다고 밝혔다.
통상 반도체 생산설비의 가동이 중단될 경우 공정 중에 있던 웨이퍼 뿐 아니라 반으로 내부도 오염되기 때문에 재가동을위해 2~3일의 기간이 소요된다. 회사측은 사고발생 직후 피해규모가 400억원을 하회할 것으로 밝히고 있으나 영업이익 감소분이 최대 2000억원 수준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이다.
박현 푸르덴셜투자증권 연구원은 "정전사태로 인한 손실규모가 최대 2000억원에 이를 수 있지만 이는 삼성전자의 연간 영업이익 중 3%에 불과한 수준"이라며 "생산차질이 발생할 경우 가동률 조정을 통한 생산량 확대로 부분적 손실보전이 가능하고 또한 일시적인 사고이기에 4분기 이후 영업실적에는 영향이 없어 목표주가를 변경할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이번 정전사태로 단기적인 NAND 현물가격 상승과 손실발생이라는 부정적 요인으로 삼성전자의 주가하락 요인이 될 수 있다"며 "하지만 펀더멘털 상의 변화가 없는 만큼 주가하락이 있더라도 단기적인 현상으로 오히려 저점매수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영주 우리투자증권 연구원도 "정전사태로 인한 전세계 NAND 수급이 극심한 공급 부족 사태를 시현할 수 있어 큰 폭의 가격 상승 가능성도 있다"며 "판가 상승에 따라 삼성전자의 예상 매출액 달성은 무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매출액에 큰 타격을 입지 않을 경우 수익적인 측면에서의 손실이 미미할 것이란 분석이다.
박 연구원은 하이닉스반도체의 경우 예정된 출하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되고 생산차질에 의해 NAND 산업 수급이 안정될 경우 소폭의 수혜가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