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취업 소요기간 ‘11.2개월’ 더 길어져…취준생 39%는 ‘공시족’

입력 2016-07-21 12:00수정 2016-07-21 14: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연금 받는 고령층 비율 0.9%포인트 감소

(그래픽=통계청)
경기침체와 청년실업 문제가 장기화하면서 첫 취업 소요기간은 더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고시, 이른바 ‘공시’를 준비하는 청년층은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청년층 및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5월 기준으로 15~29세 청년 취업 준비생은 65만2000명이었는데 이 중 39.3%가 일반직 공무원(5급 행정고시 및 교원 임용시험 제외) 시험을 준비하고 있었다. 이는 지난해 조사 때보다 4.4%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청년들은 11.2개월 걸려 첫 직장을 잡지만 정작 첫 직장 평균 근속기간은 1년 7개월에 불과했다. 첫 취업 평균 소요기간은 1년 전보다 0.2개월 늘어난 것이다.

높은 스펙을 갖추고 어렵게 직장을 잡지만 직장 생활이 기대에 못 미쳐 보다 더 나은 직장을 찾아 나서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학업을 마치고도 취직을 한 번도 해보지 못한 청년층 수는 61만4000명으로 조사됐다. 1년 전 조사보다 2만5000명이 줄었다.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시험 준비자는 65만2000명(13.1%)으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 상승했다.

5월 기준 청년층 인구는 944만900명으로 1년 전보다 5만 명 줄어들었고, 15세 이상 인구의 21.8%를 차지했다. 청년층 고용률은 42.7%로 1년 전 조사보다 1.0%포인트 상승했다.

이번 조사에서 휴학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대졸자는 4.6%로 나타났다. 병역의무를 이행해야 하는 남자를 제외하고 여자의 경우 학비나 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해 휴학을 했다는 비율이 16.7%로 나타났다.

한편, 고령층(55~79세) 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5.1%로 전년 동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했고, 고용률은 53.7%로 같은 기간 0.2%포인트 떨어졌다.

고령층 인구 중 54%는 생계를 위해 취업전선에 뛰어든 것이다. 지난 1년간 연금을 받은 고령층은 전체 고령층 인구의 44.1%(546만900명)로 지난해(45%)보다 소폭 감소했다.

통계청은 이와 관련, 연금 수령 비율이 낮은 55~64세 인구가 37만5000명 증가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51만 원으로 지난해 5월 조사 때보다 2만 원 늘어난 데 그쳤다. 장래 근로를 희망하는 고령층 인구가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연령은 평균 72세까지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