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우리은행 매각 속도…매각대금 분할납입 검토

입력 2016-07-13 09: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가 우리은행 매각대금 분할납입까지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는 등 우리은행 매각(민영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산하 공적자금위원회(공자위)는 최근 두 차례 매각심사소위를 열어 우리은행 매각과 관련 논의를 진행했다.

이번에 열린 회의에서는 주로 우리은행 매각과 관련한 시장수요조사(태핑) 결과에 대한 평가, 법률적ㆍ기술적 검토 사항, 다양한 유효 투자 주체의 지분 인수 조건 및 요구사항 등에 관한 이야기가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정부가 이번에 과점주주 매각방식을 처음 진행하다보니 매각과 관련해 세부 사항을 심도 있게 논의할 사항이 많고, 이와 관련해 법률적ㆍ기술적으로 검토해야 할 부분이 넓은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 정부는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 중 30∼40%를 4∼10%씩 쪼개 파는 방식의 과점주주 매각방식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014년 경영권 지분을 제외한 소수지분을 희망수량 경쟁입찰 방식으로 매각을 추진할 당시, 수요조사 때와 달리 실제 입찰에 참여한 투자자가 소수에 그쳐 매각이 좌초된 바 있다.

이 때문에 이번에는 수요 조사를 보다 철저히 해 투자 의사가 확고한 진성 투자자가 일정 수준 이상 확보돼야 매각 작업에 착수하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특히, 인수자 측에서 요청할 경우 매각대금을 분할 납입하게 하는 방안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2008년 대우조선해양 매각을 추진할 당시 매각대금 분할 납입을 거부했던 것과 비교하면 매우 전향적인 태도다.

앞서 대우조선 매각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된 한화그룹은 대우조선 인수를 위해 총 6조3000억원을 제시했지만, 산업은행에서 매각대금을 분할 납입하겠다는 한화 측 제안을 수용하지 않아 계약이 무산된 바 있다.

한편 우리은행은 지난 1분기 기준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한 4433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한데 이어 올 상반기 당기순이익 규모 역시 7457억원을 기록하는 등 전년 동기 대비 44.3%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우리은행 주가는 12일 종가 기준 여전히 9000원대에 머물러 있다. 정부가 우리은행에 투입한 공적 자금을 모두 회수하기 위해서는 주당 약 1만3000원에는 매각해야 하는 점을 고려하면 비교적 낮은 수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