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호 정치경제부 기자
최근 여야 국회의원 23명은 4차 산업혁명의 일환으로 ‘융합혁신경제포럼’을 공식 발족했다. 사물인터넷·클라우드·빅데이터·모바일·보안(ICBMS)으로 대변되는 지능형 스마트기술을 건설·조선·철강·에너지 등 전통산업과 융합하자는 것이다.
특히 새누리당 김성태 의원은 융합혁신경제의 한 사례로 ‘해양 융합 스마트시티’를 제안했다. 구조조정 작업이 진행 중인 조선·해양산업에 건설과 스마트기술이 융합된 스마트시티를 구축할 경우 도시 하나를 건설할 때 40만 명의 일자리가 만들어지고, 70조 원의 경제적 효과가 있다는 분석이다. 그는 “우리나라에서 3~4개, 전 세계에 7~10개만 건설해도 우리나라에 새로운 변화가 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스마트시티는 관광·레저·의료 등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다고 한다.
조선해운업계 관계자도 “해양융합스마트시티 사업은 여의도 면적의 3~5배 크기의 대규모 사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해양도시 구조물은 매우 저렴해 해상에 새로운 공화국을 만들 수 있을 정도”라며 김 의원의 주장에 힘을 실어줬다.
그런데 이런 개발 계획에 4차 산업혁명이라는 표현을 붙이는 게 적절한지 의문이다. 계획을 보면 토목공사부터 떠오르기 때문이다. 지식 집약적 산업 등을 위한 진지한 고민이 있었는지 의심이 된다.
얼마 전 기자와 만난 한 정치평론가는 “정치권에서 4차 산업 얘기가 나오고 있지만 그 실체가 불분명하다”며 “우리나라의 미래를 위해 구체적인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정치인이 별로 없다”고 개탄했다. 여야 의원들의 각종 연구단체가 연구가 주 목적이 아닌 정치세력화를 위한 계파모임으로 비치지 않으려면 ‘딴 생각’을 접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