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차 보급 숨통 트이나…울산ㆍ광주 ‘융ㆍ복합車 충전소’ 설치

입력 2016-07-08 10:48수정 2016-07-08 14: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일반 주유소에도 가능… 거리 미확보시 방호벽 갖춰 설치

정부가 내년 3월까지 울산과 광주 지역에 전기ㆍ수소ㆍ압축도시가스(CNG)ㆍ액화석유가스(LPG) 충전까지 한곳에서 가능한 ‘융복합자동차충전소’를 짓는다. 현재 수소차 충전소 건설에 지급하는 보조금도 현재 15억 원에서 상향 조정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미세먼지 관리와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해 설치 기준이 대폭 완화되고 보조금 혜택이 늘어남에 따라 충전소 부족으로 꽉 막혔던 친환경 수소차 보급에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7일 융ㆍ복합 및 패키지형 자동차충전소 시설기준 등에 관한 특례기준안을 제정해 고시했다고 8일 밝혔다. 고시에 따르면 기존 CNGㆍLPG충전소, 일반 주유소에도 수소차나 전기차 충전소를 함께 설치ㆍ운영할 수 있는 융ㆍ복합충전소가 허용된다. 또 충전 설비와 기존 주유 설비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울 경우 안전규격에 맞는 방호벽을 갖추면 충전소 설치가 가능해진다. 여기에 하나의 보호함에 충전시설을 장착해 이동이 편리한 패키지형 수소차 충전소 설치도 허용된다.

관련 업계에서는 오래 전부터 충전소 설치에 따른 부지 문제와 경영ㆍ운영상의 편의성 등을 이유로 정부에 복합충전소 등을 허용해 달라고 건의해 왔으나 매번 안전상의 문제로 규제완화 대상에서 제외됐었다.

이날부터 융ㆍ복합 자동차 충전소가 허용됨에 따라 정부는 이달 중 친환경자동차 규제프리존으로 지정돼 있는 울산광역시의 LPG 충전소와 광주광역시의 CNG 충전소에 각각 수소차 충전설비 1기씩을 건설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달 중 발주해 시공에 들어가면 내년 1분기 내에는 완공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존 LPG나 CNG 충전소와 연계해 짓게 되면 부지 확보로 인한 어려움을 덜 수 있게 되고 충전소 건설 비용도 줄일 수 있어 수소차 충전소 보급이 활성화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앞서 정부는 10차 무역투자진흥회의를 통해 현재 10기에 불과한 수소충전기를 2020년까지 100기로 확대하는 목표를 세웠다. 주민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지방자치단체도 충전소를 도시 외곽에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또 복합소재로 용기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폭발 위험도 거의 없다는 것이 산업부의 설명이다.

정부는 수소차 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해 설치 보조금을 늘리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현재는 충전소 설치 비용(약 30억 원)의 절반인 15억 원이 보조금으로 지원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