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수출 공기업 기능조정 후속조치…노형 다변화ㆍ협의회 가동

입력 2016-07-05 06:00수정 2016-07-05 14:1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원전수출추진 점검회의서 논의

정부가 발주국의 수요에 맞춰 원자력발전소(원전) 노형을 다변화하고 글로벌 기업과 전략적 제휴를 강화해 원전 수출 성과를 높이기로 했다. 또 한국전력과 한국수력원자력 등 원전수출 공기업 간 협업을 위해 ‘원전수출협의회’도 신설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서울 강남구 더팰리스호텔에서 우태희 2차관 주재로 ‘원전수출추진 점검회의’를 열어 주요 프로젝트별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원전수출 공기업 기능조정 후속 세부방안을 논의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6월 말 한전이 총괄하는 원전 해외수출기능도 한수원과 프로젝트별로 분담하도록 하는 내용의 ‘에너지 분야 기능조정방안’을 내놨다.

이날 회의에서는 먼저 원전 수주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용량 변경, 안전성 강화와 같은 발주국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원자로 모델을 다변화하기로 했다. 수출 노형은 기존 ‘APR1400(국산, 국제인증 없음)’ 한 종류에서 앞으로는 APR1400(국산, 미국 설계인증 획득), APR1400(국산, 미국 설계인증 획득), APR1400(국산, 미국 설계인증 획득), APR1400(국산, 미국 설계인증 획득) 등으로 늘려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수출금융, 판로개척 등을 돕는 기자재 업계 전담기관(원전기자재수출법인)을 운영하고 해외 운영사와 국내 운영사인 한수원 간의 제휴를 통해 서비스 수출시장도 개척해 나가기로 했다. 글로벌 원전 기업과의 공동 지분투자 등 전략적 투자도 강화해 수출 가능한 시장을 발굴할 방침이다.

한전뿐 아니라 한수원에서도 원전수출 활동이 가능해짐에 따라 기관별 강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국가나 프로젝트는 한전에서 수행하되, 기술요건이 주 요인인 경우는 한수원이 주관하도록 역할을 분담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원전수출협의회’를 가동해 사업단계별 협업기능을 조율하고 프로젝트별 수주전략을 마련해 나간다는 구상도 세웠다.

이와 함께 한전, 한수원 양 기관의 원전수출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사업개발, 금융지원 등 기능별 인력과 현지 해외지사 인력도 보강한다. 한전에는 부사장 직속의 해외전략금융처를 신설해 해외지사 인력을 추가 배치할 계획이다. 또 한수원의 원전수출 전담 조직을 본부급으로 확대개편하고 해외전문가도 양성한다.

산업부는 이번 수출 공기업 기능조정을 통해 원전수출 전력이 대폭 보강돼 보다 활발한 수주활동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했다. 또 원전수주 협상 시 가격경쟁력, 시공역량 중심의 원전 세일즈에서 노형 선진화, 운영서비스 등도 포함돼 수주 협상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부는 이번에 논의된 원전수출 공기업 기능조정 방안을 시행하기 위해 8월 말까지 한국전력공사와 발전자회사 간 업무협력 지침 고시를 개정하고 원전수출협의회를 구성해 본격적으로 가동할 계획이다.

우태희 2차관은 “이제는 보다 적극적인 수주활동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선점해야 할 때”라면서 “이번 에너지 공공기관 기능조정으로 한수원도 원전수출 활동에 참여하게 돼 전력이 대폭 보강된 만큼 다각적인 원전 수주활동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