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노동·기업·금융 규제 10% 완화 시 경제 성장률 1.5%p 상승”

입력 2016-06-30 14: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경제연구원이 노동·기업·금융 규제수준을 10% 완화하면, 경제성장률이 1.5%p 증가한다는 분석을 발표했다.

한경연은 30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 ‘한국경제 재도약을 위한 규제개혁 과제’ 세미나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서 발표자로 나선 최진욱 고려대 교수는 프레이저재단에서 언급한 세계경제자유지수를 구성하는 항목(5개) 중 전체규제수준의 세부항목인 노동시장규제, 금융시장 규제, 기업규제 지수를 활용해 2001년부터 2014년까지 OECD 회원국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각 항목과 전체규제수준은 0에서 10까지의 값이 있으며, 값이 낮을수록 규제의 정도가 심한 상황을 의미하고 값이 높을수록 정부의 개입이 적은 상황을 의미한다.

최 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노동·기업·금융규제수준이 2000년 6.26점에서 2013년 6.86점으로 14년간 0.6점 상승했다”며 “그간 추세를 볼 때 규제수준을 한 단위 올리기 쉽지 않은 만큼 피부에 와 닿는 경제성장을 이끌어내려면 보다 강도 높은 규제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변양규 거시연구실장은 “고용보호와 같은 노동력 사용에 대한 규제가 심할수록 노동시장의 상대적 취약계층인 청년층과 장년층, 그리고 여성의 고용률은 상대적으로 낮아진다”며 “노동력 사용에 대한 직접적인 규제가 높을수록 임금근로자 일자리가 충분하지 못해 자영업자 비중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종한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은 규제개혁위원회를 독립행정위원회로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규제개혁위원회는 민간 비상임위원으로 구성돼 있고, 실질적인 업무는 국무조정실이 담당하고 있다.

이 연구위원은 “규제개혁위원회가 이처럼 위상이 모호해 지속적인 규제개혁 추진이 사실상 어려운 구조”라며 “미국과 같이 규제법전 방식으로 전환해 규제관리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은 행정부의 규칙제정만 규제로 판단하고 규칙제정에 따라 만들어진 규제는 일괄적으로 규제법전에 재편된다.

이광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ICT 융합으로 혁신적인 제품이 개발되고 있지만 국내 규제체계와 글로벌 규제체계가 서로 달라 시장출시가 가로막히고 서비스개발이 지연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국내 규제체계를 가능한 글로벌 규제체계와 조화시켜 국내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