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연료’ LPG 가격 도시가스보다 36% 더 비싸

입력 2016-06-23 07:32수정 2016-06-23 13:5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액화석유가스(LPG) 가격이 도시가스(LNG)보다 36%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민들이 많이 쓰는 연료인 점을 감안하면 가격체계가 불합리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가스업계에 따르면 6월 경기 지역을 기준으로 한 난방ㆍ취사용(가정용) 도시가스와 LPG(프로판)의 열량단가(똑같은 열량을 얻는 데 드는 비용)는 각각 69원/M㎈, 94원/M㎈로 나타났다.

1M㎈의 열량을 얻을 때 드는 비용은 도시가스는 69원, LPG는 94원이라는 의미다. 산간이나 오지, 많은 가구가 모여 살지 않는 지역, 또는 식당ㆍ노점상 등이 주로 쓰는 LPG의 단가가 도시가스보다 36.2%가량 비싼 것이다.

특히 난방ㆍ취사용으로 공급되는 두 연료 간 가격 격차는 산업용으로 공급되는 가격과 비교할 때 더 커진다. 경기 지역을 기준으로 할 때 산업용으로 공급되는 도시가스와 LPG의 열량단가는 각각 55원/M㎈, 59원/M㎈로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이는 LPG의 경우 산업체에는 도매가격으로, 일반 소비자에게는 소매가격으로 공급되는데 도매에서 소매로 넘어가면서 값이 크게 뛰기 때문이다.

한국석유공사가 운영하는 오피넷의 6월 셋째 주 일반 프로판의 가격을 보면 도매에 해당하는 LPG 충전소 공급가는 911.08원/㎏인데 반해 소매인 LPG 판매소 가격은 1697.63원이다. 소매가격이 도매가보다 86.3%나 비싼 셈이다.

이는 LPG 판매소를 운영하는 개인 사업자들이 LPG 용기(일명 가스통) 관리, 가스 주입(충전), 배달 등을 하는 과정에서 유통 비용이 발생하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산업체에는 LPG 업체들이 직접 공급하여 도매가가 적용되지만, 일반 소비자에게는 유통과정을 한 단계 더 거치면서 소매가가 적용돼 더 비싸지는 것이다.

이에 정부도 LPG를 수요자들이 좀 더 싼값에 안전하게 쓸 수 있도록 LPG 소형 저장탱크·배관망 지원 사업을 벌이고 있다. 도시가스가 보급되지 않은 곳에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비용을 부담해 LPG 공급용 탱크와 배관망을 설치해주는 사업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