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의 분식회계, 롯데의 비자금 조성 등으로 최근 회계법인의 신뢰도가 땅에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대형 회계법인들이 잇따라 검찰 수사를 받으면서 해당 사안에 연루된 의혹을 받고 있다.
이런 구조적 병폐를 없애기 위해 감사보수의 상향 조정을 높이는데 신임 최 회장이 주력해야 한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현재 회계업계에서는 기업 감사보수가 적정 수준의 5분의1 수준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감사인 선임 권한을 쥐고 있는 기업이 보수를 낮게 책정해 회계법인을 흔드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외감법)에 감사인을 결산 종료일로부터 4개월 이내에 선임하도록 규정해 놓은 것도 연말로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 회계법인은 통상 상장법인과 3년간 외부감사 계약을 맺고 있다. 계약 연장 시기는 12월 결산보고서 작성이 끝난 뒤인 4월에 이뤄진다. 이 때문에 회계법인은 기업의 감사보고서를 쓰면서 계약 연장 여부 눈치도 봐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회계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서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인 셈이다.
젊은 회계사와의 소통 강화도 최 회장의 과제다. 공인회계사회는 고참 회계사들이 주로 참여하는 단체란 인식이 강하다. 2만여명으로 구성된 공인회계사회의 활동이 소수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다. 100여명으로 이뤄진 공인회계사회의 평의원회는 대형 회계법인 소속의 중진들로 구성돼 있다.
1800여명의 회원을 가진 청년회계사회는 회계사회가 비민주적인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면서 지난달 △회장 선거 전자 투표 도입 △평의원회 선출 방식 개선 △임원 선거 입후보자 요건 완화 등을 골자로 한 회칙 개정안을 총회 안건으로 올려 달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공인회계사회 평의원회는 해당 안건을 부결시킨 바 있다.
최 회장은 정부의 외감법 개정에도 대응해야 한다. 정부는 회계산업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회계법인 대표에게 부실감사 책임을 지우는 방향으로 외감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방향은 ‘을’의 입장인 회계사의 현장 감사를 도리어 위축시킬 것이란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회계업계 관계자는 "거짓 자료를 제출한 기업에 책임을 묻는 것이 먼저"라며 "제반 상황의 개선 없이 회계업계 처벌을 강화하면 감사는 다들 기피하는 업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1956년생인 최 신임 회장은 경기고와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1978년 22회 행정고시에 합격한 후 기획재정부 1차관, 지식경제부 장관 등을 역임했다. 그의 회계사회장 임기는 2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