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공공의료원 10곳 중 4곳 의료이익 증가…“외래ㆍ입원 환자 ↑”

입력 2016-06-21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공공의료원 환자 현황. (표=보건복지부)
지난해 34개 지방 공공의료원 중 13개 (38.23%)의료원이 의료이익 증가로 경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의료원의 부채 총액은 매년 조금씩 증가하다 지난해 65억원이 줄어들었다.

보건복지부는 21일 ‘지역거점공공병원 알리미’에 등록된 세입ㆍ세출결산서를 분석한 결과 13개 지방의료원이 의료수익에서 의료비용을 뺀 의료이익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에도 불구하고 환자가 증가(입원 4000명, 외래 5만7000명)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의료이익이 증가한 의료원은 △군산(21억원) △영월(10억원) △목포시(8억원) △마산(8억원) △원주(7억원) △삼척(2억원) △포항(14억원) △충주(21억원) △서울(28억원) △의정부(15억원) △김천(6억원) △속초(3억원) △울진군(3억원) 등이다.

군산의료원은 우수한 전문의 4명을 추가 확보하고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확대 운영 등으로 입원ㆍ외래환자가 증가해 의료이익이 21억원 늘었다.

영월의료원은 대학병원 비뇨기과ㆍ정형외과 교수를 영입하는 등 우수한 의료인력을 지원받아 입원ㆍ외래환자로 의료이익이 10억원 증가했다.

목포시의료원은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재활요양병동 및 정신병동 등 특화사업 실시로 입원ㆍ외래환자가 증가해 의료이익이 8억원 늘었다.

원주의료원과 삼척의료원도 외래환자 증가로 의료이익이 각각 7억원, 2억원 증가했다.

마산의료원은 인건비(의료비용) 절감으로 의료이익이 8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기능보강비ㆍ의사인건비 등 정부지원, 불합리한 단체협약ㆍ과도한 진료비 감면 등 불합리한 관행 개선을 비롯해 올해 상시 근로 300명 이상인 15개 지방의료원 임금피크제 도입 등 지방의료원 자체 경영개선노력도 경영개선에 많은 도움이 된 것으로 분석됐다.

부채 총액은 매년 조금씩 증가했으나, 지난해 65억원이 줄어 지난해 5280억원을 기록했다. 기관당 평균 부채는 155억원이다.

취약계층 감면액이 14억원 증가해 전체 감면액은 11억원 증가했으나, 기타감면 등 감면액은 감소했다. 지인 등에게 감면해 주던 과도한 진료비 감면액은 2013년 12억6000만원에 달했으나, 2년간 6억7000만원(53.2%)이 줄어 지난해 5억9000만원으로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복지부는 앞으로도 지방의료원으로 하여금 공익적 기능 즉, 호스피스, 재활치료, 고압산소치료, 음압격리병동, 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등을 강화하도록 하고 동시에 경영 개선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