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국회 상임위] 與, 기재ㆍ정무위 위원장 맡았지만...野, 김종인ㆍ박영선ㆍ최운열 막강라인

입력 2016-06-16 11:1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더민주 민병두·최운열 ‘브레인’ 투입…‘대기업 저격수’ 채이배·심상정도

제20대 국회가 20일부터 각 상임위원회별 소관부처 업무 보고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한다. 총선 패배로 여당의 과반 의석이 무너지면서 18개 모든 상임위 정수가 ‘여소야대’로 구성됐다. 이에 따라 19대 국회와는 완전히 다른 양상으로 의사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투데이는 새롭게 구성된 주요 상임위와 구성원 분석을 통해 향후 펼쳐질 상임위 활동을 예측해봤다.

◇정무위 = 정무위는 국무조정실,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 한국산업은행, 국민권익위원회 등 21개 기관을 관장한다. 24명이 정수로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 각각 10명, 국민의당 3명, 정의당 1명으로 구성됐다.

사회권을 쥔 위원장은 3선의 새누리당 이진복(부산 동래) 의원이 맡았다. 법안 상정 등 의사일정을 협의할 여야 간사에는 새누리당 유의동(재선·경기 평택을)·더민주 전해철(재선·경기 안산 상록갑)·국민의당 김관영(재선·전북 군산)이 각각 선임됐다.

정무위가 주로 다루는 법안은 공정거래법 등 경제 민주화와 금융·대기업 규제와 관련한 것이어서 관심도가 높다. 그런 만큼 특히 야당에서 강성파 의원들이 대거 몰려들었다.

더민주에서는 민병두 민주정책연구원장과 당 경제민주화 태스크포스(TF) 팀장인 최운열 의원이 포진했다. 이들은 대기업의 지배구조와 편법 상속 문제 등을 손보겠다며 단단히 벼르는 중이다.

국민의당은 ‘대기업 저격수’ 채이배 의원을 배치했다. 채 의원은 20년 동안 시민단체에서 대기업 개혁 운동을 벌여왔다. 19대 국회 때 정무위에서 가장 활발하게 일했던 김기식 전 의원의 보좌진 3명까지 흡수해 전투력을 높였다.

여기에 정의당 심상정 대표까지 더해 정무위에서의 야당 전투력은 모든 상임위를 통틀어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에 맞선 새누리당은 경험이 많은 김용태 의원과 판사 출신의 홍일표 의원 등을 배정했다.

◇기획재정위 = 기재위는 기획재정부,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 등 5개 정부기관과 한국은행, 한국수출입은행, 한국조폐공사, 한국투자공사, 국제원산지정보원 등 5개의 관련 기관 등 총 10곳을 소관한다. 정수는 정무위보다 2명 많은 26명으로, 새누리당과 더민주가 각각 11명, 국민의당이 3명, 무소속(유승민 의원)이 1명이다.

위원장은 새누리당 정희수 전 의원에 이어 같은 당 조경태 의원(4선·부산 사하을)이 이어받았다. 조 의원은 더민주 출신으로, 새누리당의 텃밭인 부산에서 야당 소속으로만 내리 3번 당선된 유일무이한 기록의 보유자다. 성향은 ‘중도’다. 간사는 새누리당 이헌재(재선·경기 하남)·더민주 박광온(재선·경시 수원정)·국민의당 김성식(재선·서울 관악) 의원이 맡았다. 김성식 의원은 조경태 위원장과 반대로 새누리당에서 국민의당으로 소속 정당을 옮겨 현재 정책위의장을 겸임하고 있다.

기재위는 예산과 세법 주무상임위로, 정무위 이상으로 우리 경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곳이다. 여야에서 쟁쟁한 의원들이 모두 모인 이유다.

새누리당은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 출신의 이혜훈 의원과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 출신 이종구 의원이 전면에 나섰다. 전문성은 물론 입심도 만만치 않은 이들이다.

더민주는 경제민주화 전도사로서, 정치권에 경제민주화 돌풍을 일으킨 김종인 대표와 삼성 저승사자로 불리는 박영선 의원이 투입됐다. 박 의원은 원구성 전부터 지배주주 일가의 계열사에 대한 지배권 강화 관행을 해결하고자 상법 등 4건의 경제민주화 법안을 발의해놨다.

무소속으로 이름을 올린 유승민 의원은 아직 새누리당에 복당하지 못했다. 유 의원은 개혁 성향이 강한데다 현 정부 경제정책에 비판적인 시각을 갖고 있어 기재위에서 어떤 자세를 취할지 관심이 모아진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