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연구원, "기준금리인하로 보험사 수익성 재무건전성 악화 우려"

입력 2016-06-12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코코본드 발행 , 중수익 투자 확대 등 고려해야”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가 보험사 성장성, 수익성, 재무건전성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 9일 한은은 기준금리를 1.50%에서 역대 최저수준인 1.25%로 조정했다.

보험연구원은 12일 '금리인하가 보험회사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표에 이 같이 밝혔다.

우선 금리인하로 인한 예정이율 하락이 보험료 상승을 불러, 신계약 판매을 위축시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수익성 악화에 대한 지적이다.

예정이율은 보험사가 상품을 기획할 때 보험료를 산정하는 기준이 되는 이율이다. 보험회사가 계약자에게서 받은 보험료로 운용하는 수익률 예상치다.

예정이율이 하락하면 운용수익률이 하락하기 때문에 가입자에게서 보험료를 더 올려받게 되는 구조다.

또한 금리하락이 금리역마진 확대로 이어져 당기순이익이 감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리하락으로 운용자산이익률 감소폭이 보험부채 부담이율 하락폭보다 크게 나타나면서 당기순이익이 하락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2015년 말 기준 금리역마진 갭은 0.76%p까지 확대된 상황이다.

이 밖에 금리하락은 금리역마진위험액 확대에 따른 요구자본을 증가시켜 장기적으로는 재무건전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연구원측은 바라봤다.

저금리 장기화로 금리역마진위험액은 2014년 1조 1926억 원에서 2015년 2조 7070억원으로 증가했다.

연구원은 금리하락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자본확충, 경영합리화, 투자수익처 발굴 등 다양한 경영전략을 펼쳐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재무건전성 관리를 위한 자본확충의 일환으로 코코본드 발행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코코본드는 발행 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정의된 사유가 발생할 경우 투자 원금이 주식으로 강제 전환되거나 상각된다는 조건이 붙은 회사채다.

이어 연구원 측은 "금리하락으로 채권수익률 하락이 불가피하므로 중수익 투자 비중 확대 등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