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NASA "충남 화력발전소 주변 '2차 미세먼지' 서울보다 많아"

입력 2016-06-08 15:5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항공조사 횟수 4회 늘려…내년 6월 결과 발표

화력발전소들이 밀집된 충남지역 상공에 아황산가스 등 2차로 생성된 미세먼지가 서울보다 최대 2배 이상 많이 떠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ㆍ나사)과 국립환경과학원은 5일 서울 등 수도권과 충남지역에서 항공조사를 벌인 결과 이 같이 분석됐다고 8일 밝혔다.

'한-미 협력 국내 대기질 공동조사(KORUS-AQ)'를 진행 중인 나사는 당초 15~16회로 예정돼 있던 항공 조사를 20회로 4회 더 늘렸다. 한반도 대기 오염 상황이 그만큼 연구 가치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나사는 1회 비행 시간을 8시간으로 상정해 120시간만큼 측정하기로 했던 한반도 대기질 항공 측정 시간을 140시간으로 늘렸다. 이에따라 항공 측정 횟수도 20회로 4회 정도 더 늘었다는 설명이다. .

나사에 따르면 특히 정유 시설이나 석탄 화력발전소 밀집 지역의 경우 '2차 미세먼지'에 대한 분석이 중점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2차 미세먼지란 석탄이나 유류를 태우면서 발생하는 대기 오염 물질이 공기 중에서 미세먼지와 결합해 생성하는 추가적인 물질을 말한다.

실제 5일 항공 측정에서 이날 오전 11시부터 오전 11시30분까지 약 30분간 충남 당진ㆍ태안ㆍ보령ㆍ서천 지역의 아황산가스를 측정해 본 결과 0.004~0.011ppm 정도가 나왔다.

이 수치는 같은날 오전 9시께 서울 상공에서 측정한 아황산가스 수치(0.005ppm)와 비교해 최대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같은 시각 서울과 충남 지역의 미세먼지 수치는 각각 65㎍/㎥, 57~63㎍/㎥으로 서울 지역이 오히려 높은 편이었지만, 이같은 2차 미세먼지 유발 물질을 봤을 때 정유 시설ㆍ화력발전 역시 미세먼지를 유발하는 원인이라는 점이 확인됐다는 설명이다.

이태형 한국외국어대학교 환경학과 교수는 "정유 시설이나 화력발전소 부근에 미세먼지가 많이 분포해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며 "국내 대기질과 관련된 문제를 석탄 화력발전소에만 국한시킬 순 없지만, 이번 연구가 끝나면 미세먼지가 어떤 식으로 발생하는지에 대한 원인 규명을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한-미 협력 국내 대기질 공동조사의 남은 비행 일정은 오는 9~10일로 예정됐다. 나사는 측정 분석 결과를 2017년 6월쯤 발표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