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중국 구직자, 개인 발전 가능성 보고 한국 기업 지원해”

입력 2016-05-26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국 구직자의 한국기업 지원동기 및 경력별 희망급여 수준’ 설문조사 발표

최근 중국에 진출한 국내 기업의 중국인 현지 채용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구직자들의 한국기업 지원 동기 1위가 ‘개인발전 가능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무역협회 상해지부가 발표한 ‘중국 구직자의 한국기업 지원동기 및 경력별 희망급여 수준’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국 구직자들은 한국기업 지원동기로 ‘개인 능력에 따른 진급 등 발전이 가능하기 때문(29.1%)’을 가장 많이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뒤이어 ‘한국어 전공 등으로 한국어 구사가 가능하기 때문(24.3%)’,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좋아서(23.4%)’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한류의 영향에 따른 국가이미지 향상이 중국 구직자들의 취업 희망기업 선택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설문조사는 한국기업에 취업을 희망하는 중국인 구직자 322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전체 응답자 중 한족이 86.3%를 차지했으며 조선족 11.2%, 소수민족 2.5% 등이었다. 학력별로는 대졸자가 51.2%로 가장 많았으며 대학원 이상 22.7%, 전문대졸 17.7%, 고졸이하 5.6% 등의 순이었다.

전체 중국 구직자들의 희망급여는 월 5000∼6000위안(90만∼108만원)이 21.5%로 가장 많았으며 6000∼7000위안(16.7%), 7000∼8000위안(16.4%)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60.7%가 종업원 100명 이상의 중견기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문에 응답한 경력자들의 이직사유를 보면 ‘계약만기(35.6%)’, ‘비합리적인 조직문화(33.5%)’, ‘진급지연(26.4%)’, ‘낮은 급여(24.3%)’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서욱태 한국무역협회 상해지부장은 “중국 구직자들은 한국기업에 취업할 경우 개인능력에 따른 진급 등 발전 가능성을 우선시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며 “진출기업들은 이러한 점을 감안해 현지 직원들의 회사에 대한 로열티와 근무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