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2000만건 교통카드 빅데이터로 대중교통 조정한다

입력 2016-05-25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가 1일 2100만건에 달하는 교통카드 사용 통계를 내년까지 빅데이터로 구축해 활용한다. 사업비는 약 15억원으로 책정했다.

국토부는 25일 교통카드 전산자료를 체계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 1단계 구축사업에 들어갔다.

교통카드빅데이터는 교통수단, 승․하차 시간, 노선 및 정류장, 환승여부 등 이용자의 통행실태 파악에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교통카드 사용이 보편화(2014년 기준 92.1%)되면서 활용가치가 높아졌다.

국토부는 올해 1개 교통카드 정산사업자(한국스마트카드 티머니)를 대상으로 1단계 사업을 추진해 시스템 표준화 기반을 마련한다. 내년에는 전체 정산사업자로 확대해 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를 활용 시 기존 우리나라 전체 대중교통 9000여개 노선에 대한 수요조사방식과 비교해 조사비용을 약 97% 절감(9억5000만원→ 4700만원)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데이터 요청시 결과 제공까지 걸리던 기간도 기존 45~90일에서 10일 이내로 단축될 것으로 예상했다.

통합정보시스템으로 대중교통 이용자의 통행패턴을 분석하면 노선 신설·조정, 정차 지점 및 배차 간격 최적화 등에 활용이 가능하다. 민간에서는 부동산, 통신, 재해‧재난, 기상 등 분야와 연계해 광고입지 분석과 창업 등에 활용할 수 있다. 교통카드 데이터는 현행법상 ‘이용자를 알아볼 수 없는 형태로 가공한 자료’로 규정해 개인정보가 보호된다.

그동안 교통카드 정산사업자(한국스마트카드, 이비카드, 코레일 등 8개사) 별로 정보 체계가 달라 효율적인 사용에 제약이 있었다. 그러다가 지난해 말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교통카드 데이터의 수집과 활용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