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가는 비행기 안에서 만난 김종인 "조선업 인력 구조조정 정부가 해결해야"

입력 2016-05-23 11:1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조선3사, 6조 자구안 마련… 노조 설득이 변수

▲사진제공 뉴시스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 삼성중공업 등 국내 대형 조선3사가 경영 정상화를 위해 총 6조여원에 달하는 자구안을 제시했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자구안 금액은 대우조선이 2조5000여억원으로 가장 많다. 이어 현대중공업 2조여억원, 삼성중공업 1조5000여억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빅3가 내놓은 구조조정 자구안의 핵심은 인력감축ㆍ비핵심자산 매각ㆍ사업재편 등 3개 축으로 구성됐다. 사업규모를 줄이고 단기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선택한 쉬운 방법들이다.

하지만 자구안들이 정부가 조선업 구조조정을 공개적으로 발표하면서 압박한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적지 않은 후유증도 예고되고 있다.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에 있어서 노조와 충분한 협의를 거치지 못했다는 점에서 노조 설득이 가장 큰 과제로 남아있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이미 사측의 사무직에 이은 생산직 희망퇴직 단행 등으로 강력 투쟁을 선언한 상태다. 대우조선 노조도 20일 사측이 감원 등을 포함한 추가 자구안을 제출함에 따라 조선업종노조연대와 함께 강력 투쟁에 나설 방침이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등 최대주주의 책임론도 도마에 올랐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을 중심으로 최대주주가 방만 경영을 하다 구조조정 시기를 놓쳐 화를 키웠다는 따가운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삼성중공업의 경우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으로부터 장기적으로 유동성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대주주의 추가 지원 없는 자구안이 미흡하다는 지적도 있다.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도 이날 조선업계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에 대해 정부의 책임론을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경남 거제에 있는 대우조선해양을 방문하기 앞서 기자와 만나 “최근 조선업계 인력 구조조정에 따른 고용 불안이 심화되고 있다”며 “정부가 나서 인력 구조조정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우조선 남상태, 고재호 전 사장등 경영진의 부실 경영 책임에 대해서는 앞으로 관심 있게 지켜 볼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검찰에서 진행하고 있는 분식회계 의혹을 비롯한 대우조선 전 경영진의 업무상 배임혐의 등에 대한 수사도 폭넓게 관심을 갖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대우조선 부실경영 책임규명은 뒤로 한 채 국민의 혈세를 투입하고 경영관리 주체가 아닌 근로자들에게만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는 상황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