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2020년까지 항공사 조종인력 2000명 양성

입력 2016-05-03 10: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한항공 B737-800 여객기(대한항공)

국토교통부가 2020년까지 항공사 조종인력을 2000명 규모로 양성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일자리 창출과 항공안전 확보를 위한 항공 조종인력 양성방안을 수립하고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18차 국무회의를 통해 발표했다.

대책을 통해 국토부는 △2020년까지 조종인력을 2000명 규모로 양성(연평균 450명)하고 △훈련용 경항공기 사망사고를 제로화하는 것을 목표로 3대 추진전략과 8개 세부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방안에 따르면 2017년부터 항공사 취업준비 훈련과정을 신설해 해외에 의존해오던 조종사를 국내에서 양성한다. 항공사 채용기준에 맞춰 비행경험 축적과정과 제트기 훈련과정을 신설한다.

현재 8개 국적항공사에서 연간 약 600명의 조종사를 채용하고 있다. 이 중 약 450명이 해외에서 교육을 이수하는 것으로 파악(150여명은 군 배출인력)됐다.

국토부는 항공사의 조종사 채용방식도 미리 선발한 후 교육하는 방식으로 전환을 유도할 방침이다.

또 올해 12월부터 김포, 인천, 제주, 김해 등 대형 국제공항에서 훈련용 경항공기 운항을 제한한다.

현재 김포공항을 이용하는 훈련기(15대)는 훈련업계와 협의해 교통량이 적은 지방공항으로 분산을 추진한다.

장기적으로 모든 훈련기는 전용 비행장을 이용하는 방안으로 유도할 계획이다. 훈련업계에 대한 안전감독은 이착륙 직전과 직후 불시점검 등 현장 밀착형으로 전환한다.

조종사 비행준비상태, 기체 이상 유무, 기상상황 체크, 정격연료 사용여부 등을 확인하게 된다.

훈련기관마다 제각기 운영 중인 훈련프로그램과 안전관리 요건도 정부 기준에 따라 표준화하고 인가를 받아 운영토록 제도를 개선한다.

아울러 훈련기 전용 비행장 건립과 훈련공역 확대를 검토해 추진한다.

국토부는 안전강화 조치를 통해 연간 22억원 상당의 사고비용 절감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