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임위별 여야 간사 3명으로 늘어 부담… 대기업 진흥정책 부정적 시각 많아 걱정
최근 들어 재계에서 국회를 상대로 대관(對官)업무를 보는 대외협력조직의 움직임이 분주하다. 20대 총선 결과로 여소야대의 정치 지형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행보다. 더욱이 이번 20대 총선에서 3당 체제로 판이 짜이면서 각 그룹에 속한 대외협력조직의 발등에 불이 떨어진 형국이다.
20일 재계에 따르면 ‘경제민주화’ 정책 기치를 내건 더불어민주당이 집권당인 새누리당을 누르고 원내 1당으로 올라선 뒤 재계의 대외협력 조직이 대응책 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다. 여기에 국민의당이 새누리당에 이어 3당으로 등극하면서 상황은 더욱 복잡해졌다.
재계 관계자는 “19대 국회의 경우 1당인 새누리당을 중심으로 대관업무를 수행했다”며 “여소야대 정국인 20대 국회에서는 1당에 오른 더불어민주당은 물론 3당인 국민의당도 챙겨야 할 상황”이라고 귀띔했다.
당장 3당 체제의 20대 국회에서는 상임위원회 구성부터 다르다. 각 상임위마다 2명이었던 간사단이 3명으로 늘어나게 된다. 현행 국회법은 상임위에 각 교섭단체별로 간사 1인을 둔다고 규정하고 있다.
국회를 담당하는 대외협력조직 입장에서는 상임위별 여야 간사 3명을 동시에 챙겨야 한다는 부담이 생긴 것이다.
A그룹 관계자는 “더불어민주당은 경제민주화를 앞세워 대기업 진흥 정책에 부정적 시각이 많아 걱정”이라며 “3당인 국민의당도 대기업 진흥 정책에는 우호적인 분위기가 아니라 어떻게 관계를 설정해야 할지 고민이 깊다”고 전했다.
현재 재계에서는 삼성그룹을 비롯해 현대차그룹, SK그룹, LG그룹, 롯데그룹 등 주요 그룹이 기업 경영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정책 변수에 대응하기 위한 대외협력조직을 가동하고 있다. 또 금융이나 건설, 통신 등의 규제가 강한 업종에서도 대외협력조직을 별도로 두고 있다. 중견그룹 역시 최소의 인력으로 대관업무를 담당케 하고 있다.
이들 대외협력조직은 국회와 중앙부처, 사정기관 등 다양한 영역군으로 나눠 대응하고 있다. 이 중 국회 업무는 주요 그룹에서 가장 신경 쓰는 곳이다. 국회의원은 입법적 권한을 갖고, 행정부에 대한 각종 조사와 자료제출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