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이 본격적인 ‘옥석 가리기’에 나섰다.
11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국내 은행들은 이달 4일 총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의 대기업을 대상으로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시작했다.
약 3개월간 진행되는 이번 대기업 신용위험평가는 먼저 한 달간 기본 평가를 통해 대상 기업을 분류한다. 이후 두 달 동안 재무와 비재무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세부 평가를 실시한다. 동일기업에 대한 개별 채권은행의 평가 시 구조조정이 필요한 C등급(워크아웃), D등급(법정관리)이 나올 경우 주채권은행에 통보, 채권단 회의를 거쳐 등급이 최종 확정된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평가 항목 중 경영위험, 영업위험 등 비재무 기준이 적용되는 만큼 채권단 내에서도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감독원은 은행권의 대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를 취합해 오는 7월 구조조정 대상 기업을 발표한다.
은행권에는 이번 대기업 정기 신용위험평가는 부실기업 정리에 대한 금융당국의 의지가 그 어느 때보다 강하고, 더욱 강화된 기준이 적용되는 만큼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늘어날 것이란 관측이 많다.
지난해엔 수시 검사까지 두 차례 신용위험평가를 통해 금융위기 이후 최대인 54곳이 C·D등급을 받았다.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최근 은행 기업 구조조정 담당 부행장 등이 참석한 간담회에서 엄정한 평가를 당부했다. 진 원장은 “올해에도 우리나라의 경제여건이 여전히 녹록지 않은 현실을 감안해 기업 부실화를 예방하고 한정된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될 수 있도록 선제적인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대기업 신용위험평가 금감원 담당 부서인 신용감독국의 장복섭 국장도 지난달 말께 은행 실무진을 불러 부실기업을 적극적으로 분류해 줄 것을 주문했다는 후문이다.
이번 대기업 신용위험평가에는 기존보다 다양해진 평가방법이 적용된다. 특히 세부 평가 시 경기변동 민감도, 성장전망 등 업계 상황이 전반적으로 반영된다.
평가대상도 확대됐다. 그동안 영업활동 현금흐름, 이자보상배율 등을 고려해 평가대상을 선정했으나 올해에는 완전자본잠식, 취약업종 기업을 추가하는 등 평가대상이 늘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국내 산업의 체질 강화를 위해 좀비 기업을 조속히 정리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강하다”면서 “올해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작년보다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