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돌보는 아빠 늘린다”…정부-경제5단체 ‘맞손’

입력 2016-03-25 16: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고용부, 일ㆍ가정 양립 민관협의회 가동

중앙-지방단위의 ‘일ㆍ가정 양립 민관협의회’가 가동된다. 남성 육아휴직 기회를 늘리고 전환형 시간선택제 일자리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정부와 경영계가 머리를 맞댄 것이다.

고용노동부는 25일 서울고용센터에서 ‘제1차 일ㆍ가정 양립 민관협의회’를 열어 △전환형 시간선택제 △남성육아휴직, △대체인력 채용지원의 활성화 등에 대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고용부 등 관계부처, 경제5단체, 여성경제인단체,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우선 작년 말 ‘저출산 극복 동참을 위한 경제계 실천 선언’을 통해 제시한 ‘일ㆍ가정 양립’이 현장에 서 뿌리내리고 개별 기업의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중앙에는 ‘일ㆍ가정 양립 민관협의회’, 지방에는 ‘일ㆍ가정 양립 지역협의회’를 구성ㆍ운영할 계획이다.

또 한국경영자총협회를 중심으로 노동계와 함께 전환형 시간선택제를 확산시켜 근로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고용문화를 조성하고 근로자의 복리후생을 높이기로 했다. 전환형 시간선택제는 전일제 근로자가 육아, 학업, 퇴직준비 등의 사유로 일정기간 시간선택제로 전환해 근무할 수 있는 제도다.

남성 육아휴직 확산을 위해선 전국경제인연합회과 함께 대기업의 참여를 독려하고, 사회 전반의 인식 개선을 유도할 계획이다. 지난해 남성 육아휴직자는 4872명으로 전년보다 42.4% 증가했다. 전체 육아휴직자(8만7339명)가 13.7%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증가폭이 컸다. 하지만 전체 육아휴직자에서 남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5.6%에 그치고 있다.

또 대한상의와 중소기업중앙회는 대체인력 수요가 높은 중소기업의 대체인력 지원제도 이용률을 높이는 역할을 맡게 된다. 무역협회는 3대 핵심과제를 중심으로 일ㆍ가정 양립 관련 해외 모범사례를 조사해 국내 기업에 전파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 대한상의는 ‘한국기업 조직건강도와 기업문화’ 발표를 통해 “경영혁신과 기업 생존을 위해 일·가정 양립은 필수적이다”고 강조했다.

고영선 고용부 차관은 “일ㆍ가정 양립은 숙련인력 이직 방지, 근로자 생산성 향상 등으로 기업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된다”며 “민관이 협력해 일과 가정이 조화로운 사회를 만들고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