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혹독한 4월’..신용·재무구조 평가 일제히 시작

입력 2016-03-23 09:25수정 2016-03-23 10:0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감원 주채무계열 선정 작업

금융권발 대기업 구조조정의 ‘혹독한 4월’이 예고됐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오는 4월 대기업 구조조정과 관련된 금융당국의 굵직한 행보가 연달아 진행된다. 특히 올해는 금융당국이 부실기업에 대한 상시적·선제적인 대응을 강조한 만큼 거친 구조조정이 예상된다.

우선 다음 달 초 금융감독원은 올해 주채무계열을 확정한다. 이미 금감원은 주채무계열 선정 작업을 시작했다.

다음 달에는 대기업 신용위험평가도 진행된다. 최근 더욱 강화된 기업구조조정촉진법(기촉법)이 재 입법된 만큼 C(워크아웃)·D(법정관리)등급 기업이 역대 최대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주채무계열 40개 넘을 듯…재무구조 뜯어본다= 주채무계열 선정 작업은 부실 대기업의 ‘저승사자’로 불리는 금감원 신용감독국에서 진행한다. 금감원은 올해 조직개편에서 기업금융개선국을 신용감독국으로 개칭했다.

신용감독국 신용감독1팀에서 선별 중인 주채무계열은 지난해 빌린 돈이 전년 금융기관 총신용공여액의 0.075% 이상인 곳으로 삼성, 현대차, SK, LG 등 대기업 집단이 주로 포함된다.

지난해엔 우리은행, KDB산업은행 등이 주채권은행인 대기업 집단 41곳이 주채무계열로 선정됐다.

금감원은 주채무계열을 선정한 후 약 두 달간 이들 계열사의 재무구조를 자세히 살핀다. 이 평가에서 재무구조가 취약한 것으로 드러난 계열사는 주채권은행과 재무구조개선약정이나 정보제공약정을 체결하게 된다.

금감원은 개별 기업은 물론 그룹사 전반의 자금 흐름을 점검하는 등 강화된 평가 기준을 적용할 방침이다.

◇재무뿐만 아니라 산업·영업·경영위험까지= 올해 대기업(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 신용위험평가는 강화된 기준이 적용되는 만큼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지난해 보다 늘어날 전망이다. 지난해 C·D등급을 받은 기업은 금융위기 이후 최대인 54곳에 달했다.

대기업 신용위험평가 주무부서인 금감원 신용감독국 신용감독2팀은 산업·영업·경영위험 등 새로운 평가지표가 현장에서 제대로 적용될 수 있도록 막바지 점검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그동안 영업활동 현금흐름, 이자보상배율 등을 고려해 평가대상을 선정했으나 올해에는 완전자본잠식, 취약업종 기업을 추가하는 등 평가대상을 확대한다.

이와 관련, 금감원 양현근 부원장보는 조만간 시중은행의 기업여신 담당 부행장들을 불러 엄격한 평가를 당부할 예정이다.

금융권은 올해 대기업 신용위험평가에서 구조조정 대상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관측했다. 일각에서는 다음 달 총선이 끝나면 일부 기업 구조조정에 영향을 미쳤던 정치적인 이해도 해소되는 만큼 부실기업 정리가 급물살을 탈 것이란 시각이 나온다.

◇은행들 충당금 늘듯…건전성 확보 비상= 대기업 구조조정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은행권의 건전성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금감원 진웅섭 원장은 최근 임원회의에서 은행들이 부실채권을 신속히 정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은행권 부실채권비율은 금융위기 직후인 2010년 1.9%에서 2012년 1.33%로 떨어졌다가 2014년 1.55%, 2015년 1.80%로 다시 상승했다.

반면,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2010년 108.5%에서 2012년 159.0%로 올랐다가 2014년 124.0%, 2015년 112.0%로 하향 추세다. 이는 기업 부도 등 손실에 의한 충격을 줄일 대비가 미흡하다는 뜻이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은행들이 기업 구조조정으로 증가하는 부실 채권을 조속히 털어내지 않으면 건전성이 악화하는 악순환이 이어질 것”이라며 “실물 부문에 대한 은행권의 금융지원마저 어려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