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센터 ‘행정복지센터’로…‘읍면동 복지허브화’ 릴레이 간담회 개최

입력 2016-03-21 11: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주민센터가 ‘행정복지센터’로 간판을 바꾸고 지역사회 ‘복지 허브’로 탈바꿈한다.

보건복지부와 행정자치부는 읍면동 복지허브화가 현장 구석구석까지 퍼져나갈 수 있도록 17개 시도 찾아가는 설명회와 동시에 정책 간담회를 추진 중이라고 21일 밝혔다. 복지부는 읍ㆍ면ㆍ동 복지화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는 지자체와의 역할과 협조가 중요하다고 보고, 이달 말까지 지자체장들과의 만남을 지속해 나갈 방침이다.

이날 방문규 복지부 차관은 세종특별자치시장과 만나, 읍ㆍ면ㆍ동이 진정한 복지 센터로 거듭날 수 있도록 정부의 다양한 추진 계획을 설명하고, 이와 관련한 현장에서의 생생한 의견을 듣는다.

방 차관은 “복지허브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세종특별자치시에 감사하다”며 “조속한 시일내에 읍ㆍ면ㆍ동에 ‘맞춤형 복지팀’이 신설돼, 도움이 필요한 곳을 직접 찾아다닐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세종시는 2014년부터 꾸준히 읍ㆍ면ㆍ동 복지허브화 관련 시범사업을 추진했고, 지난해 ‘읍ㆍ면ㆍ동 복지기능 강화 시범사업’ 우수지자체로 대상을 수상했다.

이번 읍ㆍ면ㆍ동 복지허브화에서는 조치원읍이 선도지역으로 참여하며, 후발지역으로 아름동도 참여할 예정이다.

방 차관과 이 시장은 이러한 시범사업의 경험과 선도지역의 우수사례, 노하우 등의 확산ㆍ전파가 읍ㆍ면ㆍ동 복지허브화의 성공적 정착에 있어 중요하다는 점에서 의견을 같이했다.

앞서 정부는 상반기에 33개 ‘선도’ 읍ㆍ면ㆍ동을 행복센터로 전환하고 연말까지 700개 주민센터를 개편할 계획이다. 2018년말까지 전국 3500여 개 주민센터가 모두 행정복지센터로 간판을 바꿔 단다.

행복센터에는 복지업무를 전담하는 ‘맞춤형복지팀’ 3명이 배치된다. 현재 읍면동 주민센터 한 곳당 평균 4명 선인 복지 담당자 수가 7∼8명으로 늘어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