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의 경제학] 연간 경제성장률 추이로 본 역대 총선은

입력 2016-03-17 18:30수정 2016-03-18 10: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역대 대통령 재임기간 평균 경제성장률 하락세 지속

20대 국회의원 선거가 한 달도 채 남지 않았다. 여야 총선 출마자들은 자신이 지역경제를 살릴 적임자라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3당이 발표한 총선공약을 보면 역시 ‘경제 살리기’가 핵심이다.

그렇다면 역대 총선 당시 경제 상황은 어땠을까?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90년대 10%대에 달했다. 1990년 9.8%, 1991년 10.4%로 올라간 성장률은 14대 총선이 있던 1992년 6.2%로 떨어졌다. 이후 다시 9%대를 회복했다가 15대 총선이 열린 1996년 7.6%로 다시 하락했다.

특히 IMF(국제통화기금) 사태가 터진 1998년에는 -5.5%를 기록했다. 하지만 전 국민의 노력으로 다음해 다시 11.3%의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는 성과를 거뒀다.

2000년에 들어서자마자 16대 총선이 실시됐고 경제성장률은 8.9%를 보였다. 그러나 이듬해 4.5%로 반토막 났다. 한일 월드컵이 열린 2002년 7.4%로 올라섰지만, 17대 총선이 열린 2004년 경제성장률은 다시 4.9%를 가리켰다.

5% 미만의 저성장 기조 속에 18대 총선에 이어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에는 2.8%로 떨어졌다. 다음해인 2009년에는 금융위기 여파로 0.7%의 경제성장률을 보이기도 했다.

경제성장률은 2010년대 들어 회복세를 보이다가 19대 총선이 열린 2012년에는 2.3%를 기록했다. 2013년 2.9%, 2014년 3.3%에 이어 지난해에는 2.6%로 저성장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20대 총선이 열리는 올해는 IMF와 금융위기에 이은 최악의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는 게 대부분의 시각이다.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3.1%로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대내외 여건을 지켜본 해외 전문기관들은 전망치를 2%대로 낮춰 잡았다.

역대 정권별 평균 경제성장률을 보면 △김영삼 정부(1993~1997년, 이하 재임기간) 7.82% △김대중 정부(1998~2002년) 5.32% △노무현 정부(2003~2007년) 4.48% △이명박 정부(2008~2012년) 3.2% △박근혜 정부(2013~2015년까지) 2.93%로 집계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