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배당甲질] 경영환경 불확실한데… ‘배놔라 감놔라’ 속탄다

입력 2016-03-07 11: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BSI 4개월째 하락에 수출 7.9% 감소했는데 고배당 요구… “의결권 무기로 배당 압력 옳지 않아”

산업계가 불투명한 경영환경으로 시름하고 있는 가운데 국민연금까지 고배당을 요구하고 나서 전전긍긍하고 있다. 더욱이 국민연금의 의결권 지분이 절대적인 대기업들의 속은 까맣게 타들어가고 있다.

7일 산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적극적으로 고배당 정책을 요구하기로 방침을 세운 뒤 정기주주총회를 앞둔 대기업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대기업들은 국민연금의 고배당 요구에 어느 정도 이해를 하면서도 지금과 같은 국내·외 리스크가 커진 상황에서는 부담스럽다는 반응이다.

실제 국내 제조업 종사자들이 느끼는 체감경기 수준을 나타내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4개월 연속 하락하며, 6년 11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2월 제조업의 업황BSI는 63이다. BSI는 기업이 느끼는 경기 상황을 지수화한 것으로, 100 이상이면 경기를 좋게 보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이다.

수출액도 계속 내리막 길을 달리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수출액은 전년 대비 7.9% 감소한 5272억달러에 머물렀다. 1월과 2월 수출지표는 더 부진했다. 1월의 수출 감소폭은 마이너스 18.5%로 집계됐고, 2월에도 12.2% 떨어졌다.

통계청이 이달 2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1월 전체 산업생산(계절조정지수 기준)은 전월보다 1.2% 줄었다. 지난해 10월(-0.8%)과 11월(-0.5%) 연속 주춤했던 전체 산업생산은 12월 들어 1.3% 반등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감소세로 바뀌었다. 감소폭도 지난해 1월(-1.6%) 이후 가장 크다.

이 같은 상황에서 국민연금의 고배당 목소리에 대기업들의 불만도 쌓이고 있다.

A기업 관계자는 “기업들도 실적이 뒷받침되면 배당성향을 높이는 정책을 추진하거나 도입하는 것이 맞다”며 “다만 대기업 상장사 지분율을 상당수 보유한 국민연금이 고배당을 압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B기업도 국민연금이 요구하는 방식에 일침을 가했다. B기업 관계자는 “요즘 들어 대기업을 중심으로 배당정책을 강화하면서 다양한 주주환원 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하지만 국민연금이 의결권을 앞세워 고배당을 요구하는 것은 모양새가 좋지 않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국민연금의 경우 단일주주로 최대주주 위치에 있는 기업들도 있을 것”이라며 “국민연금의 의견을 수용하지 못한 기업들 입장에서는 정기주주총회 등에 상정된 안건을 반대할 수 있다는 불안감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상당수 대기업들은 국민연금의 고배당 요구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하는 것조차 부담스러워하는 눈치다. 그만큼 국내 대기업 상당수가 국민연금이 주요 주주로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국민연금은 주요 기업의 지분을 상당수 보유하고 있다. 금융투자 업계에서는 국민연금이 5% 이상 지분을 보유한 기업수가 289개(2015년 말 기준)로 파악하고 있다. 이 중 엔씨소프트(13.22%)를 비롯해 네이버(10.87%), KB금융(9.42%) 등은 국민연금이 단일 최대주주 위치에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