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4만5000종 생물 서식한다

입력 2016-03-03 13:0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금까지 확인된 우리나라 국가 생물종 수는 4만5295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15년 연말 기준으로 확인된 우리나라의 생물 종수가 4만5295종이며 이를 정리한 총 33권의 ‘국가 생물종 목록집’을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

우리나라의 생물 정보가 세계 과학계에 알려진 것은 1847년 영국의 군의관 아담스(A. Adams)가 제주도 탐사에서 발견한 제주홍단딱정벌레(Coptolabus smaragnidus monilifer)를 영국 학자인 테이텀(T. Tatum)이 신종으로 발표한 것이 최초다.

이후 여러 학자들의 논문을 통해 확인된 우리나라의 생물 종수는 늘어나기 시작했으며, 지난 1996년 환경부 주관으로 ‘국내 생물종 문헌조사 연구’ 사업에서 전체 생물종 2만8462종을 목록화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생물다양성협약(1992년)과 나고야의정서 발효(2014년)로 공식적인 ‘국가 생물종 목록’이 필요함에 따라 ‘국가 생물자원 인벤토리 구축’, ‘자생생물 조사ㆍ발굴’ 사업 등을 추진해 최신 종 목록을 꾸준히 발굴하고 있다.

그 결과, 지난해 말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진이 제주도에서 양치식물 긴다람쥐꼬리(Huperzia jejuensis)를 신종으로 발표하면서 4만5295번째 종이 추가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총 33권의 ‘국가 생물종 목록집’에 4만5295종의 생물종에 대한 국명, 학명, 문헌정보 등을 수록했다. 그간 300명에 이르는 국내외 전문가와 생물학계, 관계기관 등이 적극적으로 협조했다고 자원관은 설명했다.

한편, 국립생물자원관은 국토의 면적과 위도가 비슷한 일본과 영국의 상황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생물 종수는 미 확인된 생물종을 포함해 약 10만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