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발전소 사업권 재매각 가능성도
포스코에너지가 계열사 포스파워를 통해 추진 중인 삼척화력발전소 사업이 좌초 위기에 놓였다. 삼척시, 지역 주민의 부지 이전 요구와 함께 포스파워 지분 매각 난항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기 때문이다.
포스파워의 삼척화력발전소 사업이 위기에 빠지면 이 회사의 인수를 주도한 권오준 포스코 회장, 황은연 포스코 사장의 책임론도 불거질 전망이다.
포스코에너지는 애초 올해 초부터 삼척화력발전소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었다. 그러나 현재 첫 삽도 뜨지 못했다. 이러한 배경에는 환경부의 환경영향평가 재보완 요구가 있다. 포스코에너지는 지난해 8월부터 환경부와 환경영향평가 협의를 진행했다.
그러나 협의가 순조롭지 못하면서 포스코에너지는 재보완한 환경영향평가를 환경부에 다시 제출해야 한다. 포스코에너지가 보완한 환경영향평가 제출 시점은 이르면 4월, 늦으면 6월로 예상되고 있다. 이 시점까지는 공사를 진행할 수 없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환경영향평가 결과 문제의 소지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면 부지가 옮겨지거나 사업이 표류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지연주민의 거센 반발도 문제다. 삼척시는 지난해 포스코에너지에 부지 이전을 공식 요청했다. 현재 삼척화력발전소가 건설될 과거 동양시멘트 광산부지는 시내와 너무 가깝다는 이유에서다. 대신 삼척시는 덕산항 남쪽으로 화력발전소 부지를 옮기라고 포스코에너지에 요구했다.
임홍기 삼척시 계장은 “발전소 건립 예정지는 시내 중심지와 3.5km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시내에 비산먼지가 날아들 수 있다”며 “포스코에너지가 인근에 석탄 부두를 설치하면 맹방해수욕장이 침식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박준양 삼척시 번영회 발전소 이전대책 특위 위원장은 “부지를 옮기면 적극적으로 포스코에너지를 지원하겠다는 것이 주민들의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포스코에너지 측에서는 발전소 건립 부지를 옮기는 것은 사실상 사업을 포기하라는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당초에 세워 놓은 사업계획을 다시 수립해야 하기 때문이다. 착공 시기도 더 늦춰질 수밖에 없다. 포스코에너지는 2014년에 삼척화력발전소 사업권을 가진 동양파워를 4311억원에 인수했지만 3년 이상 고착 상태에 빠질 수 있는 셈이다.
막대한 사업비도 문제다. 삼척화력발전소의 공사기간은 최소 5년으로 점쳐지고 있다. 총 사업비는 4조원이다. 포스코에너지가 홀로 감당하기에는 벅찬 금액이다. 이 때문에 포스코에너지는 지난해부터 포스파워의 지분 일부 매각을 추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에너지가 100% 가진 포스파워의 지분 중 70%를 매각해 사업비 부담을 낮추려는 의도다. 포스코에너지가 바라는 최상의 시나리오는 사업비의 70%가량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조달하고 나머지 1조2000억원의 30%인 3600억원만 부담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역시 진전이 없다. 포스코에너지는 지난해부터 여러 기관과 사모펀드에 지분 매각을 타진했지만 호응을 보이는 곳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에너지 시장의 위축, 포스코그룹의 불안정한 경영구조 등이 포스파워 지분의 인기를 떨어뜨리는 배경으로 해석되고 있다. 애초 사업계획대로 올해 착공에 들어가려면 이미 지분을 매각했어야 했다.
이 때문에 투자은행(IB) 업계에서는 포스코건설, 대우인터내셔널 등 포스코 계열사가 삼척화력발전소의 사업비를 분담할 것이란 전망을 하고 있다. 이 경우 포스코그룹의 신규투자 금액이 늘어나면서 재무구조가 악화할 수밖에 없다. 권 회장은 재무구조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꼽고 있다.
포스코에너지가 삼척화력발전소 사업권의 재매각에 나설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환경평가, 지역주민 반발, 사업비 조달 난항과 같은 난제를 극복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소재와 에너지 사업과 같은 비철강 부문을 강화하려는 권 회장의 경영 오판이 현재와 같은 사태를 불러온 것”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