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중견기업 전용예산 편성 추진…R&D 자금 저리융자 지원

입력 2016-02-24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산업통상자원부가 중견기업의 수출 확대를 위해 중견기업 전용예산 편성을 추진한다. 또 신산업 투자 펀드 1600억원을 조성하고, 연간 3000억원 규모의 신산업 연구개발(R&D)과 사업화 자금을 저리로 융자 지원한다.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24일 판교에서 중견기업계 대표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이 자리에는 강호갑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회장과 중견기업 대표 15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전용 R&D사업 신설, 마곡지구 내 R&D 복합센터 지원, 수출 및 해외진출 확대 지원 등을 건의했다.

주 장관은 “중소기업청 내 중견기업 전용 R&D예산 신설을 위해 예비타당성조사를 올해 진행한다. 내년도 중기청 수출지원 사업 내에 중견기업 전용예산 편성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마곡지구에 설립 예정인 중견기업 R&D복합 센터에 대한 공동 연구기자재, 해외바이어 상담 시설 등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내년까지 7조원을 신성장 분야 R&D에 투입하는 한편, 신산업에 대한 R&D투자는 신성장동력 R&D투자로 인정해 일반 R&D세액공제율(2~8%) 보다 훨씬 높은 세액공제율(20%)을 적용하는 등 우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산업부는 중견기업의 수출 확대를 위해 해외수요 발굴부터 R&D, 금융지원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글로벌 파트너링 사업(GP)을 확대한다. 지원예산을 당초 26억원에서 45억원으로 늘리고, GP 거점무역관은 기존 32개에서 중국과 인도 등을 추가해 40개로 확장한다. 또 신산업 투자촉진을 위해 중소‧중견기업용 신산업 투자 펀드 1600억원을 조성하고, 연간 3000억원 규모의 신산업 R&D 및 사업화 자금을 저리로 융자 지원한다.

산업부는 중견기업의 신산업 설비투자에 대한 가속상각 허용 및 신성장동력 R&D 세액공제 대상을 신산업(75개) 전 분야로 확대한다. 아울러 해외 M&A를 통한 신산업 진출지원을 위해 총 10억 달러 규모의 수출입은행 외화대출을 한도를 우대(소요비용 90% 한도, 금리 0.2%p 인하)해 저리로 제공할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