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29개국 상무관에 중소기업 밀착지원 임무 부여

입력 2016-02-04 09: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우태희 2차관 주재 산업부-상무관 수출전략회의 개최

수출부진 타개를 위해 4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각 정부부처 소속 상무관들이 서울 삼성동 무역협회에 모였다. 산업부는 29개국 상무관 38명에게 중소기업의 수출을 적극 지원할 것을 요청했다.

산업부는 이날 우태희 2차관 주재로 산업부-상무관 수출전략회의를 열었다. 참석자들은 회의에서 미국과 중국, 일본 등 주요 수출국별 기회요인과 대응전략을 집중 논의했다.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2년차인 중국의 경우 이달 서울에서 열리는 한중 FTA 종합상담회를 활용할 계획이다. 한국 우수상품전 개최 등을 통해 내수시장 진출을 노린다. 미국은 낮은 실업률과 민간소비 증가 등이 예상됨에 따라 소비재, 부품소재, 조달시장 등에 집중한 수출 지원활동을 펼치기로 했다.

일본은 아베노믹스 재정확대 전략에 따른 5대 성장분야 맞춤형 마케팅과 자동차 부품 조달시장 진출, 한류 재점화를 통한 소비재 수출기회 확대 전략을 제시했다. 5대 성장분야는 전력기자재, 사물인터넷(IoT)‧정보보안, 의료‧바이오, 후쿠시마 제염설비‧방호, 건설기계 부품 등이다.

토론에서는 중소기업의 수출을 지원하는 방안을 중점 논의했다. 중국과 인도 등 신흥국에서 급성장하는 전자상거래 시장을 활용, 대한무역투지진흥공사(코트라)와 협업해 중소기업의 온라인 플랫폼 진출을 확대하기로 했다.

우 차관은 각 정부부처 소속 상무관(산업부 31명, 기획재정부 1명, 국토교통부 2명, 특허청 3명, 중소기업청 1명)에게 수출촉진 임무를 부여했다. 해외현장의 최일선에서 시장의 흐름을 빠르게 전파하는 메신저로서의 상무관 역할을 강조했다. 또 중소‧중견 기업의 수출 전담창구로서 전력투구해 줄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수출 지원방식을 현장에 맞게 전환할 것을 요청하는 한편 해외 수출지원체계를 범부처 소관 유관기관과의 협력시스템으로 보강할 것을 제안했다.

우 차관은 “상무관은 중소·중견 기업의 전담창구”라며 “수출품목을 다변화하고 성장가능성이 있는 분야에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기업의 수출과 현지 경영활동을 가로막고 있는 외국의 불합리한 제도와 관행을 개선해야 한다”며 “우리 기업의 애로사항을 발굴하고 현지 대사를 중심으로 상대국 정부를 설득해 해결해주기 바란다”고 요청했다.

(산업통상자원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