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성과연봉제] 임종룡 “9개 금융공기관에 성과주의 도입…금융권 확산 기대”

입력 2016-02-01 10: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융위원회는 1일 오전 서울 중구 세종대로 금융위 대회의실에서 금융공공기관 성과중심 문화 확산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IBK기업은행)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9개 금융공공기관장을 불러 성과주의 도입을 독려했다. 금융당국은 금융권의 성과주의 확산을 위해 노조와도 직접 논의할 계획이며, 선도 기관에는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임 위원장은 1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금융공공기관 성과중심 문화 확산 간담회’를 개최하고, 금융공기관을 대상으로 성과주의를 선제적으로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예금보험공사, 주택금융공사, 예탁결제원, 캠코 등 금융권 9개 공공기관 기관장이 참석했다.

임 위원장은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금융 분야 정책금융기관인 9개 금융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보다 강화된 성과연봉제를 선도적으로 도입한다”며 “임금체계 뿐만 아니라 평가, 교육, 인사, 영업방식 등 전반에 걸친 성과중심 문화를 모범적으로 정착해나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금융공공기관의 성과중심 문화 확산은 △성과별 차등화 △금융업무 전문화 △공공부문 선도 등 3대 원칙을 바탕으로 추진된다. 금융위는 해당 3대 원칙을 바탕으로 보수·평가·교육·인사·영업방식 등 전 부문에 걸친 성과중심 문화 확산방향을 수립했다.

특히, 최하위직급인 5급과 기능직을 제외한 전 직원에 대해 호봉제를 폐지하고 성과연봉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이를 적용할 경우 성과연봉제 적용대상이 기존 1327명(7.6%)에서 1만1821명(68.1%)로 늘어나게 된다.

보수체계는 상대적으로 고임금을 받고 있는 금융공공기관의 역할과 책임을 감안해 보다 강화된 기준을 적용하기로 했다.

임 위원장은 “노사가 협력해 함께 성과중심 문화를정착해 나가는 데 금융당국도 적극 지원하겠다”며 “필요하다면 노조와도 직접 면담하고, 노사가 협력해 선도하는 기관에게 확실한 인센티브 등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