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하락 직격탄…원유 DLS 1000억원대 손실

입력 2016-01-29 09:50수정 2016-01-29 14:0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해 원유를 기초 자산으로 한 파생결합증권(DLS)에서 1000억원대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에셋증권에서 발행한 원유 DLS는 원금이 반 토막 났다.

29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신학용 의원(무소속)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만기를 맞은 원유 DLS는 발행액을 기준으로 8257억원어치다. 그러나 실제 투자자들이 돌려받은 돈은 7140억원에 그쳐 손실액이 1117억원에 달했다. 평균 13.5%의 손실이 난 것이다.

증권사별 원유 DLS의 손익률 편차 집계에서는 미래에셋증권의 손실률이 가장 높았다. 미래에셋증권은 946억원어치의 만기가 돌아왔지만 상환액이 412억원(손실률 56.5%)에 그쳐 반 토막이 났다.

이어 유안타증권(-23.8%), 대신증권(-17.1%), 신한금융투자(-14.4%), 현대증권(-10.2%), KDB대우증권(-7.4%)도 손실이 났다.

반면 하이투자증권(2.3%), 삼성증권(1.6%), 하나금융투자(1.0%), 한화투자증권(0.7%) 등은 저유가 추세 속에서도 수익을 내는데 성공했다.

지난해 원유 DLS 발행액은 대우증권이 2988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NH투자증권(1862억원), 대신증권(1천215억원), 현대증권(849억원), 신한금융투자(774억원), SK증권(521억원), 하나금융투자(514억원) 순이다.

최근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SCEI 지수) 급락 여파로 주가연계증권(ELS)의 손실 우려가 불거졌지만 실제로 손실이 확정되진 않았다. 그러나 지난해 발행된 원유 DLS는 상당수의 만기가 올해 돌아와 추가적인 손실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금융당국이 파악한 원유 DLS 발행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1조7000억원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엔가인드에 따르면 연초 이후 지난 27일까지 상환된 원유 DLS 45개에서만 이미 723억원의 손실이 나면서 평균 손익률이 -57.6%에 달한다.

에프엔가이드가 집계하는 원유 DLS가 실제 전체 물량의 85% 수준임을 고려할 때 실제 이 기간 원유 DLS 전체에서 난 손실액은 1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