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https://img.etoday.co.kr/pto_db/2016/01/600/20160108104122_792724_200_275.jpg)
후안무치는 시경 소아(小雅)편 교언(巧言)에 나온다. “생황과 같은 공교로운 말은/얼굴이 두껍기 때문이지”[巧言如篁 顔之厚矣] 하는 대목이다. 전체 여덟 행 중 마지막 두 행이다. 생황은 17개의 가느다란 대나무 관대가 통에 동글게 박혀 있는 관악기다.
선한 말이 입에서 나오는 건 당연하지만 생황과 같은 공교로운 말이 어찌 입에서 나올 수 있겠는가. 그런데 얼굴이 두꺼워 부끄러움을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듣기 좋게 꾸며진 말을 뜻하는 교언여황(巧言如簧)이나 교설여황(巧舌如簧)도 여기에서 나왔다.
우리말에도 “얼굴이 두껍다”거나 “벼룩도 낯짝이 있다”는 게 있다. 恥(부끄러워할 치) 자는 耳(귀 이)+心(마음 심)으로 이루어진 글자다. 남의 비난을 들으면 마음이 움직인다는 뜻에서 ‘부끄러워하다’는 뜻이 됐다고 한다. 중국 청나라 말기에서 중화민국 초기를 살다 간 이종오(李宗吾)가 지은 ‘후흑학(厚黑學)’은 뻔뻔하고 음흉한 처세술을 논한 책이다. 후흑은 두꺼운 얼굴을 뜻하는 면후(面厚)와 시커먼 속마음을 뜻하는 심흑(心黑)을 줄여서 만든 말이다.
후안무치와 비슷한 말로는 과렴선치(寡廉鮮恥) 면장우피(面帳牛皮) 면피후(面皮厚) 철면피(鐵面皮) 박면피(剝面皮) 등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