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달라라 IIF 총재, “한국 노사문제 금융허브 걸림돌”

"외국 자본도 국내 자본과 동등하게 대우해야"

챨스 달라라(Charles H. Dallaraㆍ사진) 국제금융연합회(IIF) 총재는 “노사문제는 한국의 금융발전과 금융허브의 목표에 제약이 된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그리고 IIF가 공동 주관으로 10일 서울에서 개최되는 ‘아시아지역 효과적 금융규제를 위한 전략적 논의’를 위해 방한한 달라라 총재는 기자들을 만나 “한미 FTA를 배경으로 한국의 금융시장 글로벌화하고 더 발전할 수 있도록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한국 정부에서 금융허브를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이민, 고용 등의 면에서 개방이 더 필요하다”며 이 같이 말했다.

달라라 총재는 “싱가포르의 경우 금융부문에서 노동시장의 개방 등을 통해 아시아 금융허브 모습을 갖추고 있다”며 “한국도 금융허브가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부문에서 개방이 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달라라 총재는 또 “국내 자본과 해외 자본을 동등하게 대우하는 원칙은 매우 중요하다”며 “국내외 자본을 동등하게 대우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만 한국에서 이러한 원칙을 지키는 것은 금융허브를 앞당기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달라라 총재는 “한국이 외국 자본을 환영하지 않는 듯한 모습을 보이지 않는 것은 아쉽다”고 지적했다.

달라라 총재는 우리나라 금융감독 규제 수준에 대해 “한국은 외환위기 이전과 비교해 보면 감독당국을 통합하는 등 감독부문에 있어서 많은 발전을 했다”며 “윤증현 금감위원장이 시장 목소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등 열린 대화시도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한국의 금융당국은 효율성 등을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며 “감독당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이슈, 대중적 의견 때문에 완화하는 못하는 부문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정치적 요소 등에서 협력이 있으면 개선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달라라 총재는 또 “모든 감독방침은 한 국가 내에서만 통하는 것이 그치지 않고 글로벌 시장에서 모두 통하게 할 수 있도록 충분히 할 수 있다”며 “국제적 기준을 만들어서 글로벌화 한 금융기관이 일개 국가에서 난관에 부딪치지 않고 영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며, 한국도 이러한 점에서 많은 진전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