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1월 6일 朝三暮四(조삼모사) 결과는 같은데 눈앞의 차별만 따짐

입력 2016-01-06 10: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새해 들어 원숭이 성어를 계속 이야기하고 있다. 사실 가장 먼저 생각나는 말은 개와 원숭이처럼 사이가 좋지 않다는 견원지간(犬猿之間)일 것이다. 하지만 그 말은 이렇게만 다루고, 다른 원숭이 성어를 언급한 뒤 내일부터는 화제를 바꿔보자.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는 조삼모사(朝三暮四)는 ①눈앞의 차별만을 알고 그 결과가 같음을 모름 ②잔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 등의 뜻을 담은 성어다. 열자(列子) 황제(黃帝)편과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나온다. 전국시대 송(宋) 땅에 저공(狙公)이라는 사람이 원숭이를 기르며 살고 있었다. 狙는 원숭이 저 자다. 그러니 저공은 원숭이를 말하거나 원숭이에게 재주를 부리게 해 돈벌이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저공은 원숭이들에게 도토리를 주면서 “앞으로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다”라고 했다. 그러자 원숭이들이 모두 화를 냈다. 저공이 “그러면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를 주겠다”고 하자 모두 좋아했다. 장자에 실린 원문은 ‘狙公賦芧曰 朝三而暮四 衆狙皆怒 曰 然則朝四而暮三 衆狙皆悅’이다. 芧는 상수리, 도토리 서 자다.

그런데 이것은 그리 간단한 이야기가 아니다. 장자는 저공과 원숭이를 언급하기 전에 “헛되이 애를 써서 한쪽에 치우친 편견을 내세우면서도 모든 게 하나임을 알지 못하는 것을 조삼(朝三)이라고 한다”는 말부터 했다. 아침에 네 개든 저녁에 네 개든 전체는 같은데도 기뻐하거나 화를 내는 것은 시비와 구별에 구애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장자는 인간생활에서 구별은 꼭 필요하지만 지나치다 보면 자연의 조화와 균형을 깨뜨리게 된다고 말한다. 성인은 시비를 조화시키고 균형된 도리에서 쉰다. 중요한 것은 대립된 두 쪽이 다 순조롭게 뻗어나가는 양행(兩行)이라는 것이다. 조삼모사는 단순한 우스갯소리가 아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