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https://img.etoday.co.kr/pto_db/2016/01/600/20160106104224_790856_200_275.jpg)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는 조삼모사(朝三暮四)는 ①눈앞의 차별만을 알고 그 결과가 같음을 모름 ②잔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 등의 뜻을 담은 성어다. 열자(列子) 황제(黃帝)편과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나온다. 전국시대 송(宋) 땅에 저공(狙公)이라는 사람이 원숭이를 기르며 살고 있었다. 狙는 원숭이 저 자다. 그러니 저공은 원숭이를 말하거나 원숭이에게 재주를 부리게 해 돈벌이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저공은 원숭이들에게 도토리를 주면서 “앞으로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다”라고 했다. 그러자 원숭이들이 모두 화를 냈다. 저공이 “그러면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를 주겠다”고 하자 모두 좋아했다. 장자에 실린 원문은 ‘狙公賦芧曰 朝三而暮四 衆狙皆怒 曰 然則朝四而暮三 衆狙皆悅’이다. 芧는 상수리, 도토리 서 자다.
그런데 이것은 그리 간단한 이야기가 아니다. 장자는 저공과 원숭이를 언급하기 전에 “헛되이 애를 써서 한쪽에 치우친 편견을 내세우면서도 모든 게 하나임을 알지 못하는 것을 조삼(朝三)이라고 한다”는 말부터 했다. 아침에 네 개든 저녁에 네 개든 전체는 같은데도 기뻐하거나 화를 내는 것은 시비와 구별에 구애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장자는 인간생활에서 구별은 꼭 필요하지만 지나치다 보면 자연의 조화와 균형을 깨뜨리게 된다고 말한다. 성인은 시비를 조화시키고 균형된 도리에서 쉰다. 중요한 것은 대립된 두 쪽이 다 순조롭게 뻗어나가는 양행(兩行)이라는 것이다. 조삼모사는 단순한 우스갯소리가 아니다.